윤철호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장은 15일 기자 브리핑을 통해 이 같은 시뮬레이션 결과를 소개했다.
이에 따르면 원자로 노심 용해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는 후쿠시마 원전 2호기의 노심이 100% 녹고 격납용기 밖으로 설계누설률(0.5%/일)의 30배가 누출돼도 울릉도에 거주하는 우리나라 국민의 피폭선량(쪼이는 방사선 양)은 0.3 밀리시버트(mSv)로 일반인 연간 선량한도인 1 mSv의 30% 수준에 불과하다. 기류는 정확하게 우리나라를 향하는 것으로 가정했다.
설계누설률 '0.5%/일'은 하루에 전체 원자로내 기체의 0.5%가 빠져나오는 상태로, 기체 누출 속도가 이 비율의 30배에 이르는 것은 결국 '격납' 기능을 완전히 상실한 최악의 상황을 말한다.
윤 원장은 우리나라 원전의 입지도 최악의 쓰나미를 가정하고 결정한 것이라고 덧붙였다.
향후 예측되는 쓰나미의 최대 크기가 울진 원전의 경우 3m, 나머지는 1m 수준인데 비해 실제 원전 부지는 고도 7.5~10m 높이에 지어졌다는 설명이다.
아울러 현재 후쿠시마 원전 1~4호기 가운데 노심이 냉각수 밖으로 노출된 2호기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안정을 찾고 있는 것으로 원자력안전기술원은 판단했다.
1, 3호기는 비상냉각계통이 복구돼 바닷물을 통한 냉각이 이뤄지고 있고, 4호기의 경우 '사용후 연료저장조'의 냉각 실패로 화재(수소연소)가 발생했으나 지진으로 냉각수가 출렁이면서 사용후 연료가 일시적 노출됐을 가능성이 크다는 설명이다.
'서프레션 풀'이라는 압력장치가 파손된 2호기도 격납용기 자체까지 파손되지는 않은 것으로 추정했다.
이날 브리핑에서 김창경 교육과학기술부 제2차관은 "오는 17일부터 인천공항에 방사선 감시기를 설치하고 관련 전문가를 파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후쿠시마-서울 노선을 통해 입국하는 일본인이 주요 검사 대상이다.
또 정부는 일본 당국, 국제원자력기구(IAEA)와 함께 일본 현지에 우리나라 원자력 전문가를 파견하는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