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중 관세 보복·재보복 악순환 우려
|
중국은 미국산 80개 품목에 추가 관세를 적용하며. 이 품목의 총액은 지난해 기준 140억 달러(약 20조원)로, 전체 대미 수입액의 8.5%에 해당한다고 니혼게이자이(닛케이)신문은 보도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지난 4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의 정상 협의에 대해 "서두르지 않겠다"며 "합의가 이뤄지지 않으면 관세는 매우 높아질 것"이라고 말해 추가 인상 가능성을 시사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대선 공약으로 60%의 대중 추가 관세를 내걸었다.
중국 상무부도 "중국은 선제적으로 무역 분쟁을 일으킬 의사가 없다"면서도 "일방적인 조치에는 자국의 이익을 지키기 위해 필요한 대응을 할 것"이라고 강조해 강경입장을 견지하고 있다.
양국 정상 간 협의가 지연되면서 트럼프 1기 정부 당시 벌어진 보복 관세의 악순환이 반복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미국 피터슨국제경제연구소(PIIE)는 미국이 10%의 대중 추가 관세를 부과하고 중국도 이에 맞대응할 경우, 트럼프 2기 행정부 4년 동안 미국의 국내총생산(GDP)은 550억 달러, 중국의 GDP는 1280억 달러 감소할 것으로 분석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