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시장 안정 대책 및 일자리 대책 병행해야"
서울 대림동 소재 상가 건물 임대 수입으로 살아가는 은퇴자 김모씨(59).
2년전 지인의 소개로 빚을 내 선물옵션에 투자한 4억원이 순식간에 날아가면서 최근 월세 아파트로 이사할 신세가 됐다.
상황이 급해지자 건물 매매를 위해 부동산 업자에게 1억원의 수수료를 준다고까지 말했지만, 경기악화 등으로 거래가 수월치 않다.
김씨는 이렇다 할 금융자산이나 개인연금을 준비하지 않았기에 결국 건물 임대수익을 받아 아파트 월세를 내는 처지로 전락했다.
50대의 가계부채 문제가 다른 연령대에 비해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50대는 다른 연령대에 비해 노후준비 수단이 부동산에 집중돼 이에 대한 제고도 필요하다는 조언이다.
22일 금융감독원의 '2012년 가계금융·복지조사 결과'자료에 따르면 작년 50대 가구주 가계의 평균 금융부채는 7634만원으로 전년대비 3.2% 증가했다. 반면 다른 연령대는 모두 금융부채가 감소했다.
타 연령대의 금융부채는 △30세미만 2156만원(-9.9%) △30~39세 4792만원(-6.3%) △40~49세 6502만원(-2.3%) △60세 이상 5705만원(-20.7%) 등으로 모두 감소세를 보였다.
같은기간 50대 가계의 소득 증가율도 3.2%로 40대의 7.0%나 30대의 5.6%에 못 미쳤다. 가처분소득이 줄어든 셈이다.
이런 상황속에서 50대 가계는 노후 준비도 미흡했다. 노후준비를 하고 있는 50대 가계 비중은 67.6%로 40대의 69.3%보다 낮았다.
특히 50대의 경우 노후준비 수단 중 부동산 비중이 15.3%로 예금·적금 12.9%, 개인연금 14.8% 보다 높았다.
40대가 개인연금 23.9%, 예금·적금 15.9%, 부동산 10.8%의 비중을 보인 것과 다른 모습이다.
국책연구기관인 한국개발연구원(KDI)도 우리나라 가계부채 문제의 뇌관으로 50대 이상의 취약 계층을 꼽았다.
KDI 관계자는 "거시경제 여건이 악화되면 채무 부실 위험이 가장 높은 연령대는 50대 이상이다"며 "해당 연령층에는 금융안정성 측면의 대응과 더불어 일자리 대책 병행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KDI는 거시경제 여건이 급격히 악화될 경우 가계부채의 단기적 부실을 최소화하려면 금융시장 안정화 조치를 신속히 시행할 수 있어야 한다고 조언했다.
관련 대응책으로는 △비은행권 채무를 보유한 다중채무자 모니터링 강화 △금융감독 사각지대 축소 △비은행권 금융사에 대한 건전성 감독 강화 등을 제시했다.
- 김문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