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시진핑 中 테크 기업 수장들 소집 심포지엄 예정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214010007742

글자크기

닫기

홍순도 베이징 특파원

승인 : 2025. 02. 14. 19:08

매우 이례적이나 빠르면 17일 개최
알리바바, 샤오미 빅테크 수장들 대상
트럼프 재등장과 대중 압박도 관련
아시아투데이 홍순도 베이징 특파원 = 시진핑(習近平) 중국 총서기 겸 국가주석이 알리바바를 비롯해 딥시크(deepseek·선두추쒀深度求索), 샤오미 (小米)등 중국의 테크(Tech·정보기술산업) 분야 주요 기업 수장들을 곧 소집해 심포지엄을 개최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빠르면 17일 열릴 것으로 보인다.

clip20250214190443
자국 테크 기업들의 수장을 소집해 심포지엄을 개최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는 시진핑 중국 총서기 겸 국가주석. 현재의 자국 경제 상황을 엄중하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신징바오(新京報).
정보통신기술(ICT) 업계 정보에 밝은 베이징 소식통들의 14일 전언에 따르면 시 주석은 최근 민간 경제 부문의 활성화를 위해 이처럼 심포지엄 개최 계획을 확정한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참석 대상으로는 중국 최대 전자상거래 플랫폼 중 하나인 알리바바의 마윈(馬雲) 창업자가 가장 먼저 거론되고 있다.

또 거대 ICT 기업인 텐센트(텅쉰騰訊)의 마화텅(馬化騰) 창업자, 스마트폰 1위 업체인 샤오미의 레이쥔(雷軍) 회장, 최근 휴머노이드 로봇 공개로 급부상한 유니트리(위수커지宇數科技)의 왕싱싱(王興興) 창업자 등도 참석 대상으로 알려져 있다. 이외에 최근 저비용 고성능 생성형 인공지능(AI) 모델 출시로 세계적 돌풍을 일으킨 스타트업 딥시크의 량원펑(梁文鋒) 창업자 역시 참석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인다.

이들 참석 대상들은 미국 ICT 분야에서 지배적 위치에 있는 아마존과 애플, 구글, 메타, 마이크로소프트, 엔비디아 등 빅테크(거대기술기업)의 창업자나 CEO(최고 경영자)들의 경쟁자들이기도 하다. 시 주석이 심포지엄을 개최하려는 목적이 분명하다고 해야 할 것 같다. 향후 더욱 격화될 미국과의 경쟁에 대비하겠다는 얘기가 될 수 있다.

이 자리에서 시 주석은 심포지엄 참석 기업인들에게 국내외 사업의 확장을 독려할 것이 확실시된다.그러나 중국 정부와 이름이 거론된 해당 기업들은 아직 심포지엄의 개최 여부와 관련해 말을 아끼고 있다. 때문에 업계 일각에서는 심포지엄의 실제 개최 여부에 대한 회의적인 관측도 없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이런 시각은 평소 시 주석이 민간 부문에 관한 심포지엄을 거의 주재하지 않은 그동안의 관례로 볼 때도 나름 일리가 있다고 해야 한다. 하지만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귀환과 미중 무역 전쟁이 격화되고 있는 현실을 감안하면 얘기가 많이 달라질 수도 있다. 특히 중국의 경기 침체가 장기적인 국면으로 진입하려는 양상을 보이는 것까지 상기할 경우 더욱 그렇다고 할 수 있다. 중국이 확실히 현 경제 상황을 엄중하게 인식하고 있다는 말이 될 것 같다.
홍순도 베이징 특파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