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유소 사업자, 경쟁력 강화 위한 자구 노력 필요
수송에너지 전환으로 인한 피해 사전에 방지해야
|
12일 김재경 에너지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서울 중구 더 플라자 호텔에서 열린 '석유산업 미래전략 포럼'에서 "전 세계적 탄소중립 진행으로 국제 석유수요가 감소하고 있다"며 "시장경제 체제 기본원리에 따라 예견된 시장 환경 변화에 주유소 사업자들은 스스로 경쟁력을 강화 위한 자구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 위원은 석유수요 구조적인 변화로 납사와 바이오 연료 생산에 주력하는 정유기업만 영업을 지속할 것으로 전망했다. 국제에너지기구(IEA)에 따르면 수송부문의 급속한 전기화로 휘발유·경유 등 수송용 석유 수요 비중이 55%에서 15%까지 하락했다. 다만 납사 등석유화학 원료 수요 비중은 20%에서 60% 수준으로 증가할 전망이다.
현재 국내 정유산업은 탄소중립 목표 이행을 위해 석유화학 원료 대체, 제조공정 개선, 석유 생산 과정에서 재생에너지 및 청정수소 사용, 에너지효율 제고 및 연료의 전환 등 탄소배출 감축을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석유제품은 연산품으로 석유제품 간 생산 비중을 큰 폭으로 조정하기 어렵다는 특성이 있다.
그는 "수송에너지 전환이 주유소의 수입원인 휘발유나 경유 등 수송용 연료 판매처 내연기관차 규모 축소를 야기한다"며 "이는 주유소 영업 실적 직접적인 타격, 향후 한계주유소 규모 확대 가능성을 높인다"고 말했다.
실제 2040년까지 주유소 1개소 당 평균 44% 이상 매출손실이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도 이미 영업실적이 사업을 지탱할 수 있는 임계수준임을 감안하면 주유소 사업의 급격한 위축을 넘어 산업 붕괴까지 예상된다.
그는 "시장경제 체제 기본원리에 따라 주유소 사업자도 스스로 경쟁력을 강화 위한 자구노력이 필요하다"며 대표 자구책으로 '주유소 부지 내 사업 다각화'를 꼽았다. 그러나 개발 주유소 사업자 중소기업, 소상공인 속하는 영세한 사업자가 개별 사업체 단위 수송에너지 전환과 같이 급격한 시장 환경에 대응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는 설명이다.
끝으로 그는 수송에너지 전환 추진 시 정부나 공공부문의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구체적으로는 수송에너지 전환 통해 부득이하게 사업 기회 박탈 당할 주유소 사업자를 고용하고, 사업 영위를 위한 정부의 구체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그는 "2015년 채택된 파리협정의 정의로운 전환(just transition) 원칙을 적용해 정부의 인위적 산업 구조조정으로 인한 피해를 사전에 방지해야 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