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취해소센터는 부산시(자치경찰위원회)·부산경찰청·부산소방재난본부·부산의료원이 협업해 신설·운영된다. 이 자리에는 안병윤 부산시 행정부시장, 이대석 부산시의회 부의장, 우철문 부산경찰청장, 박노면 자치경찰위원회 사무국장, 김우영 부산소방재난본부 구조구급과장, 김휘택 부산의료원장 등이 참석했다.
부산내 주취자 신고는 '2021년 6만 3575건, '2022년 7만 7096건으로 지속 증가중이나, 공공구호시설 부재로 각종 사고 및 범죄에 노출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최근 주취자 사고 사례를 살펴보면 2022년 11월 30일 01시28분경 만취한 요구조자를 발견 후 주민등록증상 주거지(다세대주택 대문 안 계단)에 앉혀둔 후 철수했으며 저체온으로 사망(서울)했다. 또 2023년 1월 19일 20시 01분경 노상의 요구조자를 주변에서 관찰 후 현장에서 철수했으나 주취자가 옆 골목으로 이동 후 쓰러져 승합차에 역과 사망,(서울) 2023년 1월 29일 새벽 주취신고를 받고 출동한 119구급대에서 지구대로 인계한 요구조자가 지구대에서 술에 취해 잠을 자던 중 일어나다가 넘어져 머리를 다쳐 두개골 골절로 인한 의식 불명(경남)상태다.
그 대책으로 지난해 8월 국비 12억을 투입하여 부산의료원內 '주취자응급의료센터를 개설하였으나 응급의료의 대상이 되지 않는 일반주취자를 보호하지 못하는 한계를 노출했다.
따라서 일반 주취자 대상 보호기관의 설치가 필요함에 따라, 의료시설인 現 주취자응급의료센터를 단순 만취자도 수용·보호 가능한 부산시 공공구호시설인 '주취해소센터'로 전환하게 되었다.
주취해소센터는 응급의료를 필요로 하지 않는 주취자를 그 대상으로 하며, 치료 필요시에는 병원으로 후송한다. 단, 의식이 있어 정상의 인지능력이 있거나 보호자가 있는 경우에는 귀가 또는 가족에게 인계 하며 주취난동 등 폭력행위자는 경찰관서에서 보호 또는 사법 조치한다.
주취해소센터는 지자체·경찰·소방 등 관계기관 협업을 통해 설치되는 공공구호시설로서, 의식이 없고 보호자를 찾지 못해 범죄와 사고에 노출되어 있는 주취자를 보호하는 역할을 할 것이다.
센터에는 경찰 6명과 소방 3명이 배치되어 합동으로 근무하게 되고, △경찰은 주취자 보호 및 난동 제지, △소방은 구급조치를 하게 된다.
특히 소방에서 파견된 구급대원은 간호사 또는 1급 응급구조사 자격이 있어 주취자 상태를 지속 확인하여 의료적 개입이 필요한 경우 즉시 병원 진료를 요청하게 된다.
또 본인이 동의하는 경우, 부산 중독관리 통합센터에 통보하여 상담과 중독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부산시 자치경찰위원회와 시의회에서는 주취해소센터의 시범운영을 통하여 발견된 문제점과 개선사항이 반영된 주취해소센터 설치·운영에 관한 조례 를 발의할 예정이다.,
향후 센터는 주취자에 대한 임시보호→응급처치→병원·시설 인계→복지서비스 등을 원스톱으로 제공하는 유관기관 합동대응 컨트롤타워로서의 기능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