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군 관계자는 6일 대북 확성기 방송 시설과 관련, "대비태세 차원에서 평소 (방송 재개) 준비는 언제든 돼 있다"며 "어떤 상황에든 대비해야 하기 때문에 준비하고 있었다"고 말했다. 대북 확성기는 2018년 4월 판문점 선언 이후 군이 5월부터 전방 지역 10여 곳에 설치된 고정식과 이동식 40여 대를 철거한 바 있다.
그러면서 군 관계자는 이날 "국군심리전단도 해당임무를 수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국군심리전단은 대북방송인 '자유의소리'를 제작해 꾸준히 FM주파수를 통해 내보내고 있다. 대북 확성기는 고출력 스피커를 이용해 가요, 뉴스(북한실상 포함), 기상정보 등을 북한 쪽으로 틀어주는 방송 시설이다. 저녁 시간에는 청취 거리가 20㎞ 이상의 성능을 발휘한다.
아울러 최전방 북한군 부대와 접경지역 주민들이 방송 내용을 들을 수 있기 때문에 북한 정권 입장에서는 '위력적인 심리전 도구'로 인식된다. 특히 군과 주민 동요를 끌어내는 효과가 있어 북한은 극도로 민감하게 반응하면서 남북 대화 등 기회가 있을 때마다 중단을 요구해왔다. 북한은 대북 확성기에 맞대응해 대남 확성기 방송 시설을 설치했으나 출력이 낮고 전기 공급이 원활하지 않아 효과는 거두지 못한다는 분석이 나온다.
앞서 군이 무인기 추적 및 격추 실패, 비행금지구역(P-73) 침범 무인기 항적을 식별하지 못한 정보 판단 실패, P-73 침범 가능성을 먼저 제기한 야당에 대한 정보 유출 의혹 등을 놓고 내부 감찰을 벌인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다만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이날 "군이 북한 무인기 사태에 대한 내부 조사와 감찰을 진행할 것"이라고 밝힌 만큼 군이 조만간 자체 감찰에 착수해 이번 사태와 관련한 책임을 물을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