딥시크로 인한 AI 칩 수요 증가 기대세 덕
|
8일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지난 한 주(1월 30일~2월 6일) 국내 투자자가 가장 많이 사들인 외국 주식은 '엔비디아'로 순매수액은 2억9700만달러를 기록했다.
미국 반도체 지수를 3배로 증폭해 추종하는 고위험 상품인 '디렉시온 데일리 반도체 불 3X ETF(상장지수펀드)' 역시 순매수액이 2억6000만달러에 달했다.
3위와 4위는 각각 전기차 기업 '테슬라(2억1900만달러)'와 엔비디아를 2배로 추종하는 펀드인 '그레나이트셰어즈 2.0X 롱 NVDA 데일리 ETF(1억7200만달러)'로 집계됐다.
이 중 엔비디아, 디렉시온 ETF, 그레나이트셰어즈 ETF는 모두 미국 반도체 관련 종목으로 분류된다. 3개 종목의 순매수액은 총 7억3000만달러로 한화로는 1조500억원에 달한다.
딥시크 혼란이 진정된 데 따라 '딥시크 덕에 AI 칩 수요가 늘 것'이라는 기대감이 커진 영향으로 풀이된다. 딥시크가 경제형 AI 보급을 대거 촉진하고 미국 등 타 AI 업계와의 연구개발(R&D) 경쟁을 촉발해 AI 하드웨어 수요가 더 커질 수 있다는 전망에 따른다.
앞서 지난달 말 딥시크는 고액 AI 하드웨어 투자에 대한 회의론을 촉발하며 엔비디아 등 주요 종목의 주가를 폭락시켰던 바 있다. 미국 AI 기업들의 개발비와 비교하면 10분의 1에도 못 미치는 560만달러(81억원)의 개발비 만으로 '챗GPT o1' 등에 필적하는 최상위 추론 AI의 성능을 구현했기 때문이다.
특히 AI 개발 비용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그래픽처리장치(GPU)와 고성능 메모리 등 AI 하드웨어의 '과잉 투자' 논란이 증폭되며 반도체 종목이 직격탄을 맞았다.
엔비디아의 경우 지난달 27일 하루에만 주가가 17% 급락해 시가총액 846조원이 사라졌다. 국내 반도체 종목인 SK하이닉스와 삼성전자 역시 설 연휴가 끝난 직후인 같은 달 31일 주가가 직전 거래일 대비 9.9%, 2.4%씩 떨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