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악관에 따르면 조시 어니스트 대변인은 이날 버락 오바마 대통령을 수행해 시카고로 가는 대통령 전용기(에어포스원)에서 가진 기자회견에서 "중국 소식통을 인용한 그 기사를 봤다. 자세한 사항은 모른다"고 전제했다.
그러면서 "어쨌거나 미국은 북한에 치명적인 결과를 자초할 것임을 경고해왔다. 북한이 핵실험을 한 번 할 때마다 점점 더 고립되고 북한 주민에게도 끔찍한 영향을 준다. 국익에도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 1718호, 1874호, 2087호가 북한이 어떤 핵실험도 더 해서는 안 된다고 규정하고 있고 결의 2087호에는 핵실험 시 강력한 조처를 하겠다는 내용이 담겨져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북한을 테러지원국(State Sponsor of Terrorism)으로 재지정하는 문제에는 원론적 답변을 계속했다.
그는 "리스트에서 삭제된 과거 테러 활동국에 대해서는 그런 활동이 재개됐는지 정보 당국이 정기적으로 관찰하고 감시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북한은 1987년 대한항공기 폭파 사건을 계기로 미국 국무부의 테러지원국 리스트에 올랐다가 조지 W. 부시 행정부 시절인 2008년 10월 핵 검증 합의에 따라 테러지원국에서 삭제됐으며 지난해까지 4년째 명단에서 제외됐다.
국무부는 지난해 8월 쿠바, 이란, 수단, 시리아를 테러지원국으로 재지정했으며 북한은 무기수출통제법에 따른 '테러 대응 비협력국'으로 묶어놨다.
뉼런드 대변인은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의 취임을 축하하기 위해 톰 도닐런 백악관 국가안보 보좌관이 미국 정부 대표로 방한하며 당국자 회담이 열린다면 북한 핵실험과 관련한 주제가 자연스럽게 나올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