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러나 대북 메시지를 명확히 전달해야 한다는 한국·미국의 입장과는 달리 중국의 입장이 여전히 소극적인 것으로 알려져 ‘의미있는’ 문안이 도출될지는 미지수다.
그 동안 안보리 논의 자체를 탐탁지 않게 생각해 왔던 중국은 지난달 하순부터 다소 태도를 바꿔 안보리 논의에 참여하고 있다. 그러나 천안함 관련 협의 과정 및 문안에 북한의 공격을 명시적으로 표시하는 용어나 문구는 삭제해야 한다고 주장해 협상 과정의 ‘최대 장애물’로 작용하고 있다.
중국은 “북한이 이 사건에 책임이 있다는 식으로 구체적으로 문안에 ‘북한’을 넣어서 비난한다거나, 공격(attack)이라는 용어를 사용해선 안된다”고 주장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 ‘공격’ 표현 대신 ‘사건(incident)’으로 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지난달 27일 발표된 G8(주요 8개국) 정상회의 성명에서는 ‘공격’이라는 단어가 사용됐다는 점을 감안한다면 안보리 문안이 G8 대북성명보다 낮은 수위로 작성될 가능성이 높아진 셈이다.
유엔 대표부의 한 관계자는 일부 언론에서 G8 성명이 안보리 대응 조치의 기준이 될 것처럼 얘기하고 있는 데 대해 “G8과 안보리는 성격이 완전히 다르다”면서 “특히 G8에 포함돼 있지 않은 중국이 안보리에서 사실상 북한의 입장을 대변하고 있는 만큼 논의가 쉽지 않다”고 말해 최종 안보리 문구가 G8 성명 보다 낮은 수위가 될 것임을 시사했다.
한편 필립 크롤리 미국 국무부 공보담당 차관보는 1일(현지시간) “자신들의 도발적 행동이 용납되지 않을 것이라는 점을 북한에 분명히 하는 의미 있는 성명이 유엔 안보리에서 나오기를 원한다”며 “뉴욕에서 천안함 사건과 관련한 유엔 성명을 두고 관련국가들과의 협의를 계속 진행하고 있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