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범대위는 이날 오전 더불어민주당 전남도당 앞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공모방식' 추진 건의문을 전달했다.
범대위는 기자회견에서 박찬대 민주당 당대표 직무대행에 전달할 건의문을 낭독하고 박정식 전남도당 사무처장에게 건의문을 전달했다.
박문재 범대위원장은 "2006년 수립된 국토부의 제3차 공항개발 중장기 종합계획에는 무안국제공항은 '서남권의 국내선 간선노선과 중·단거리 국제선 수요 처리'를 목표로 광주공항 국내선까지도 점증적 이전이 전제됐다"며 "무안군민을 비롯한 호남권 주민들은 2007년 무안국제공항이 개항할 당시 공항 이용의 편리성과 확장, 공항도시라는 자부심에 꿈과 희망이 부풀어 있었다"고 말했다.
박 위원장은 이어 "당시 광주광역시는 무안-광주간 고속도로 미개통으로 인한 시민불편과 군 공항 이전 연계 등을 주장하며, 국제선은 2008년 5월이 돼서야 보냈다"며 "그런 상황에서 2008년 세계적 금융위기와 신종플루는 이제 막 이륙하려는 무안국제공항의 날개를 꺾으며, 광주시·전남도·무안군 간 지역갈등의 시초가 됐다"고 덧붙였다.
|
박 위원장은 "무안군민은 광주시가 지역발전 저해와 소음피해 해소를 위해 군 공항을 이전하겠다는 것에 충분히 공감한다"며 "하지만 본인들이 피해를 본다고 군 공항, 탄약고, 포사격장, 방공포대를 재배치하거나 이전을 요구하면서 원하지 않는 지역에 일방적으로 받으라는 것은 지역이기주의의 극치"라고 했다.
무안지역 주민들은 2018년부터 지금까지 군 공항 이전에 반대의사를 표명했다. 범대위에 따르면 지난 2월 실시된 여론조사에서도 민·군 공항 이전 반대가 60%에 이른다.
박 위원장은 "광주광역시장과 전남도지사는 6월 3일 치러질 대선의 공약과제로 '민·군 공항 통합 이전 추진'을 제시하고 있지만, 지역 주민들의 생각과 동떨어진 공약을 제안하고 있다"며 "군 공항 이전은 주민수용성이 가장 중요하다. 민심은 천심이라 했으니 지역의 민심을 반영해 공모방식으로 추진해 주실 것을 간곡히 요청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