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세대·서울대 이어 경북대도 가세
대구·경북 대학생들 추가 선언도
|
윤석열 대통령 탄핵 반대를 주장하는 경북대학교 학생들이 18일 오후 2시 경북대 북문 앞에서 탄핵 반대 시국선언을 열고 대통령 탄핵은 국민에 대한 기만이자 자유민주주의의 근본을 뒤흔드는 일이라고 비판했다.
지난 10일 연세대에서 처음 시작된 대학생들의 탄핵 반대 시국선언은 서울대를 거쳐 이날 경북대에서도 진행됐다. 대구·경북 지역 대학생들이 시국선언에 동참하면서 탄핵 반대 목소리가 전국적으로 확산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시국선언에서 배연우(지구과학교육과 21학번) 학생은 "탄핵 절차는 법치주의와 헌정 질서 위에서 이뤄져야 하며, 정치적 선동이 아닌 헌법적 절차를 따라야 한다"며 "우리는 침묵하지 않고 대한민국을 바로 세울 것"이라고 강조했다.
발언자들은 헌법재판소(헌재)의 탄핵 심판 과정이 절차적 정당성을 결여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박성준(영어영문학과 19학번) 학생은 "헌재는 피소추인(윤 대통령) 변호인단의 답변 기일을 보장하지 않고, 변론 기일을 일방적으로 지정하는 등 기본적인 재판 절차를 무시하고 있다"며 "특히 헌재가 TF 조직을 통해 심판을 조율하고 있다는 의혹이 제기되면서 공정성과 신뢰성이 심각하게 흔들리고 있다"고 주장했다.
경북대 총학생회의 탄핵 찬성 공식 입장에 대한 반발도 이어졌다. 배연우 학생은 "총학생회는 2만여명의 경북대 학우들을 대표하는 기구임에도, 지난해 12월 학우들의 의견을 충분히 수렴하지 않은 채 탄핵 찬성 입장을 일방적으로 발표했다"며 "그러나 정작 학생총회에서는 정족수 2000명 중 750명만 참석해 개회조차 되지 못했다. 학우들의 동의 없는 결정은 학내 민주주의를 훼손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탄핵 추진 과정에서 외부 세력의 개입 가능성도 제기됐다. 조용균 학생은 "대한민국 선거 시스템이 외부 개입에 취약하며, 부정선거 의혹이 명확히 규명되지 않은 상태에서 탄핵이 강행되는 것은 민주주의의 근간을 흔드는 일"이라고 주장했다.
조씨는 "선관위의 전산 시스템이 해킹 가능성이 크고, 검표 과정에서 가짜 투표지가 발견되는 등 여러 정황이 확인됐다"며 "헌법재판소는 공정한 심리를 보장하고, 선관위는 선거 조작 의혹을 투명하게 밝혀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날 오후 5시에는 경북대 정문에서 대구·경북 대학생 연합이 추가 시국선언을 열었다. 경북대를 비롯해 대경대, 계명대, 영남이공대, 대구대, 한동대, 안동대 등 여러 대학 학생들이 동참했으며, 참가자들은 탄핵 반대 입장을 분명히 하며 법치 수호를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