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하마스, 6차 인질 석방…이스라엘 남성 3명 귀환 후 병원 이송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215010007845

글자크기

닫기

임우섭 기자

승인 : 2025. 02. 15. 20:36

하마스, 498일 만에 인질 3명 국제적십자사에 인계
epaselect epaselect MIDEAST ISRAEL GAZA CONFLICT
2023년 10월 7일 팔레스타인 가자지구 무장 단체 하마스의 이스라엘 기습 공격 당시 납치된 이스라엘·러시아 이중국적자 사샤 트루파노프가 15일 석방됐다. 하마스는 이날 트루파노프를 포함해 이스라엘 남성 인질 세 명을 국제적십자사에 인계했다./EPA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가 15일(현지시간) 6차 인질 석방을 진행하며 휴전 합의 파기 위기를 넘겼다.석방된 이스라엘인 남성 3명은 이스라엘로 귀환한 뒤 병원으로 이송됐다.

이스라엘군은 이날 성명을 통해 "군과 국내보안기관이 협력해 인질 3명이 가자지구 경계를 넘어 이스라엘 영토로 돌아왔다"고 밝혔다. 이들은 국경지대에서 건강 검진을 받은 뒤 헬기를 이용해 이스라엘 내 병원으로 이송 될 예정이다.

하마스가 이날 가자지구 남부 칸유니스에서 국제적십자사(ICRC)에 인계한 인질은 사샤 알렉산드르 트루파노프(29·러시아 이중국적), 사기 데켈첸(36·미국 이중국적), 야이르 호른(46·아르헨티나 이중국적) 등 3명이다. 이들은 지난 2023년 10월 7일 하마스의 기습 공격 당시 이스라엘 남부 니르오즈 키부츠에서 납치돼 500여일간 억류됐다.

인질들은 국제적십자사 차량에 탑승하기 전 무대에 올라 기념 촬영을 하고 주민들에게 감사 인사를 전하며 휴전 합의 이행을 촉구했다. 이스라엘 일간 하레츠에 따르면, 무대 주변에는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의 가자지구 강제 이주 구상에 반대하는 배너가 설치돼 있었다.

이스라엘 IT 기업에서 근무했던 트루파노프는 하마스의 기습 당시 니르오즈 키부츠에서 납치됐다. 그의 할머니, 어머니, 여자친구는 전쟁 발발 한달여 뒤 진행된 일주일간의 휴전 기간 중 석방됐다. 데켈첸은 당시 니르오즈 키부츠에서 다른 주민들과 함께 하마스 무장대원들에 맞서 싸우다 붙잡혔다. 호른은 자택에 있다가 납치된 것으로 전해졌다.

이스라엘은 인질 3명의 석방 대가로 이날 팔레스타인 수감자 369명을 풀어준다. 이 중 36명은 종신형을 선고받고 복역 중이었다.

지난달 19일 발효된 이스라엘과 하마스 간 휴전 합의에 따르면, 하마스는 6주 동안 총 33명의 인질을 석방하고, 이스라엘은 팔레스타인 수감자 1904명을 석방해야 한다. 앞서 5차례에 걸쳐 인질 21명과 팔레스타인 수감자 730여명이 각각 풀려났다.

하마스는 지난 10일 이스라엘이 휴전 합의를 위반했다며 예정됐던 인질 석방을 연기한다고 발표했고, 이에 이스라엘과 미국은 인질 석방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전투를 재개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그러나 이집트와 카타르 등의 중재로 구호품 반입이 보장되면서 이날 인질·수감자 교환이 성사됐다.

2023년 10월 7일 하마스의 기습 공격으로 약 1200명이 사망하고 251명이 가자지구로 납치됐다. 이스라엘군은 현재 가자지구에 남아 있는 인질이 94명이며, 이 중 34명이 사망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임우섭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