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포시는 올해 지역경제 주체들과의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경기불황 속 어려움을 겪는 소상공인에 맞춤형 신속지원에 나설 방침이라고 12일 밝혔다.
이를 위해 김포시는 우선 소비자물가가 4%까지 급등하면서 얼어붙은 상권을 다시 살리고자 TF팀 물가안정반, 편익지원반, 시민홍보반을 꾸린다.
TF팀의 주요 과제는 △지방공공요금 인상폭 최소화 및 시기 분산 △민관 협력을 통한 관내 생산품 이용구매 독려 △체납 분할납부 검토 △모범업소 및 착한가격업소 이용 홍보를 위한 지정 릴레이 캠페인 추진 등으로 지역상권 사각지대부터 살피고 경제 체감도를 조금씩 올리겠다는 계획이다.
특히 물가안정에 기여가 큰 착한가격업소에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혜택을 제공하기 위해 업주를 대상으로 인센티브(지원내용) 선호도 조사 후 업종별로 차별화해 각 업소당 60만원 상당의 맞춤형 물품 등을 제공할 예정이다.
소상공인에 대한 맞춤형 신속지원도 이뤄진다. 김포시는 올해 중·저신용 소상공인 특례보증을 155억원 규모로 확대하고, 소상공인 운전자금도 5000만원 이내 2~3% 이자 차액을 지원하는 등 소상공인 경영안정자금을 최대로 공급한다.
김포시는 또 소상공인 및 지역상권 활성화를 위한 지원체계를 마련하기 위해 '골목형상점가' 지정에 박차를 가할 예정이다. 골목형상점가는 2000㎡ 내 소상공인이 운영하는 점포 20개 이상(상업지역 외 기준) 밀집해 있는 구역으로, 상인조직을 갖추고 해당 구역 안에서 상시 영업을 하는 상인의 2분의 1 이상의 동의가 있는 경우 신청할 수 있다.
골목형상점가 내 해당 소상공인은 온누리 상품권 가맹점 가입 신청이 가능하다. 소비자가 온누리 상품권을 사용할 경우 상품 할인(최대 10~15%)의 효과로 고객 유입 및 매출 상승이 기대되며, 가맹점의 결제수수료 부담도 감소 된다.
투명하고 내실있는 사회적경제기업의 발굴·육성도 본격화된다. 김포시는 사회적경제기업 발굴 및 육성 지원을 통해 사회적가치를 실현하는 사회적경제 생태계 조성을 추진하고 있다. 현재 (예비)사회적기업 29개, 마을기업 6개, 사회적협동조합 등 159개, 총 194개로 구성돼 있다.
특히 2023년 대비 2024년에는 사회적경제기업 신규 발굴 수가 16개에서 24개로 150%의 증가율을 보였다.
올해는 사회적경제지원센터 창업보육실, 한국토지주택공사(LH) 등 5개 공간지원과 창업멘토링 및 컨설팅으로 창업을 지원하는 등 사회적경제기업의 신규 발굴 및 도약을 위해 지원한다.
김병수 시장은 "앞으로도 지역문제 해결을 위한 혁신모델 개발을 통해 더 많은 사회·경제적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