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미래부, 2015년까지 ICT·R&D 공공데이터 448개 개방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921798

글자크기

닫기

윤복음 기자

승인 : 2014. 01. 09. 12:02

레저활동용 위치 서비스, 동물 질병 안내 앱 등 비즈니스 모델 공개
 미래창조과학부는 미래부와 산하 연구기관 등에서 보유하고 있는 연구개발(R&D), 정보통신기술(ICT) 관련 공공데이터를 활용해 사업화할 수 있는 비즈니스 모델을 공개했다고 9일 밝혔다. 

이번에 공개되는 20개의 비즈니스 모델은 지난해 하반기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에서 수행한 공공데이터 개방 관련 정책연구의 결과물이다.

미래부에서 개방하는 공공데이터 활용을 활성화하기 위해 10여명의 공공데이터 분야와 앱 개발 전문가들이 미래부에서 보유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DB)를 분석해 20개의 비즈니스 모델을 도출한 것이다.

발굴된 비즈니스 모델(사업화 아이디어)로는 레저활동용 위치 서비스, 인체정보를 활용한 온라인·모바일 피팅(fitting) 시뮬레이션 서비스, 동물 질병 안내 앱, 구인구직정보 서비스, 자금 자원 대비 성과 분석서비스, 사교육비 감소를 위한 공유 이러닝 시스템(E-learning system) 등이 있다.

20개의 비즈니스 모델 중 3개의 모델(한국인 인체정보를 활용한 가상 피팅 서비스·의료정보 데이터 공동활용·R&D 기업에 대한 투자 의사결정 지원)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사업 개요, 시나리오 및 기대효과를 제공해 공공데이터를 활용한 비즈니스 기획에 참고하도록 했다.

미래부는 이러한 공공데이터를 활용한 비즈니스 활성화를 위해 2015년까지 보유한 DB 중 법적 제약이 있는 DB를 제외한 448개 DB를 개방할 계획이며, 올해 말까지 357개 DB를 개방하고 2015년까지 91개 DB를 추가 개방하기로 했다. 

또 일반 국민들이 미래부의 공공데이터에 쉽고 편리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별도의 포털을 구축할 예정이다.

미래부에서 제공하고 있는 공공데이터 목록과 비즈니스 모델은 미래부 홈페이지(www.msip.go.kr)와 창조경제타운(www.creativekorea.or.kr)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국가공공데이터 포털(www.data.go.kr)에서는 미래부 외에 모든 공공기관에서 제공하고 있는 공공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

윤복음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