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퇴 후 주거계획을 세울때 고령자의 생활패턴과 자산구조에 맞는 지역선택이 우선시돼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자산 중 부동산 비중이 높은 상황에서 '은퇴하면 어디서 살 것인가'는 삶의 질을 결정하는 소득과 직결되는 문제가 된다.
장경영 삼성생명 은퇴연구소 수석연구원은 은퇴 후 주거계획 수립 시 고려할 사항으로 △자신의 집에서 보내는 노후(Aging in place) △부동산과 금융 자산의 균형(Balance between real estate and financial assets) △사회적 고립을 피할 커뮤니티(Community) 등을 제안했다.
Aging in place(AIP)는 '자신의 집에서 독립적인 노후 생활을 꾸려 가면서 삶의 질을 유지하는 것'을 말한다. 즉 자신이 살고 있는 집을 영구적인 거주지로 삼기를 원하는 것으로, 요양시설에 들어가 노후를 보내는 '시설화(institutionalization)'의 반대개념이다.
장 연구원의 조사에 따르면 45세 이상 미국인의 86%, 한국 베이비부머의 76%가 AIP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AIP는 익숙한 곳에서 독립적인 생활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기존 시설 그대로 생활할 경우 고령자에게 자주 발생하는 낙상(落傷) 등의 위험이 커진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장 연구원은 욕실에 미끄럼 방지 시설을 갖추거나, 계단과 턱을 낮추는 등의 고령자친화 디자인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재무구조의 균형도 중요하다. 우리나라는 가계자산의 78.6%가 부동산 등 실물자산으로, 미국(32.9%)과 일본(39.5%)의 두 배를 웃돌고 있다. 특히 가구주의 연령대가 높을수록 부동산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구주 연령대별 보유자산 비중>
자료: 통계청 2010 가계금융조사. (전국 1만 표본가구 대상 조사)
그러나 향후 부동산, 그 중에서도 아파트를 통한 수익 보장은 어려울 것으로 예상되고 있어 소득 불안정을 겪을 가능성이 높다.
장 연구원은 부동산 자산 편중을 완화하기 위해서는 자신의 소득수준과 노후 준비 정도를 감안해 주택 과소비 여부를 판단해야한다고 강조했다. 또 주택 다운사이징을 통한 여윳돈으로 연금에 가입하는 등 부동산으로 평생소득을 만들 것을 조언했다.
이 외에도 장 연구원은 은퇴 후 찾아오는 또 다른 위험으로 사회적 고립을 들었다. 거동이 불편해지면 점차 외부 활동을 줄이게 되고 그로 인해 소외감을 느끼게 된다는 것.
미국의 한 조사기관에 따르면 미국 고령자들의 전체 여가시간중 친구를 찾아가거나 사교 모임에 참석하는 데 쓰는 시간의 비중은 나이가 들면서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미국에서는 사회적 고립의 위험을 줄이는 커뮤니티로 NORC(Naturally Occurring Retirement Community)가 주목받고 있다. NORC는 계획하지 않았지만 자연발생적으로 고령자가 많이 모여 사는 지역을 일컫는다.
나이가 들어도 다른 사람들과 쉽게 어울릴 수 있는 편리한 대중교통, 건강악화 시 바로 치료받을 수 있는 의료시설 같은 기본적인 인프라가 갖춰져 있다. 미국은퇴자협회(AARP)의 2005년 조사에 따르면, 55세 이상 응답자의 36%가 NORC에 거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 연구원은 우리나라 은퇴세대 역시 비슷한 사회적 고립을 경험한다고 밝혔다.
은퇴 후 주거지로 전원주택을 선호하는 사람이 많은데, 좀더 나이가 든 후까지 고려해 공공교통과 의료혜택에 대한 접근성 높은 곳을 선택하는 것이 좋다고 장 연구원은 조언했다. 또한 취미, 봉사, 종교활동 등 인적 네트워크도 잘 구축해야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