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 장관은 23일 오후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회의에 참석해 이재강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권한대행 체제 하에서 대미 협상 속도가 빠른 것이 아니냐'고 지적하자 이같이 답했다.
조 장관은 "협상의 속도나 마무리하는 시점에 대해 미리 예단하고 싶지 않다"면서 "협상이 서로에게 윈-윈할 방향으로 흘러간다면 그것(마무리)도 가능하겠지만 서둘러서 할 생각은 없다"고 말했다.
그는 "아직 대통령 선거까지 40여일 남았고 미국의 관세 유예기간까지 70여일 남아 있기 때문에 그 기간을 어떻게 활용할 것이냐 하는 것도 협상 전략의 중요한 부분"이라면서 "남은 기간 최대한의 국익을 반영하기 위한 협상의 덩어리를 만드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덧붙였다.
차지호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대통령과 권한대행은 관세 협상과 같은 주요 사안을 다룰 권한이 다르다고 지적하자 "그렇다면 손 놓고 있으라는 말씀이냐"고 반문하며 "(권한 행사를) 제한적으로 하고 있다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이번 통상 협의에서 방위비 분담금에 대한 논의가 이뤄질 가능성에 대해선 "별도 트랙으로 해야 할 사안이라고 생각한다"고 했다.
하루 앞으로 다가온 한미 '2+2' 고위급 통상 협의는 미국 워싱턴DC에서 진행된다. 한국 측에서는 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협상을 이끈다.
한편, 외교부는 2025년도 추가경정 예산안으로 본예산 대비 약 82억원(0.2%) 증액된 4조2천870억 원을 제출했다. 증액된 액수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의장국 사업 비용으로 만찬장 조성과 객실 공사 등에 쓰일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