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전날 '미한일의 시대착오적인 비핵화 집념은 우리 국가에 그 어떤 영향도 미칠 수 없다'는 제목의 김 부부장 담화를 게재한 바 있다.
지난 3일 열린 한미일 외교장관회의에서 공개된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에 대한 확고한 의지를 재확인한다"는 공동성명을 겨냥한 것이다.
김 부부장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핵보유국 지위는 외부로부터의 적대적 위협과 현재와 미래의 세계안보력학구도의 변천을 정확히 반영한 필연적 선택의 결과"라며 "그 누구의 부정도 인정도 우리는 개의치 않으며 우리는 우리의 선택을 절대로 바꾸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와 관련해 통일부 당국자는 이날 기자들을 만나 "이번 담화는 '북한과 소통하고 있다'고 한 트럼프 대통령의 지난달 31일 발언데 대한 간접적 반응"이라고 해석했다.
또 "현재 미국 신행정부가 대북정책을 검토하고 있는 과정에 있는데, 이와 관련한 자신들의 입장을 전달하려는 의도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이어 김 부부장이 한미일 안보 우려 해소 해법을 언급하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현 지위를 흔들어보려는 일방적인 현상변경시도를 철저히 포기하고 정면 충돌을 피하는 방법을 찾아야 한다"고 한 데 대해선 "새롭게 안보 우려 해소 방법을 주문한 게 특이점"이라고도 했다.
통일부 당국자는 또 "트럼프 행정부 2기 출범 이후 주로 외무성과 국방성 명의로 비핵화 불가 입장을 내왔는데, 이번엔 격을 높여 김여정 담화로 기존의 원칙적 입장을 재확인했다"고도 평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