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실험시, 신속 강력 대응...지금까지와 다르고 하나의 대응 아냐"
"완전한 비핵화까지 대북 외교 관여 시한 없이 지속"
|
성 김 미국 국무부 대북특별대표는 7일(현지시간) 대사로 있는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서 한 전화 브리핑에서 북한이 분명히 풍계리 핵실험장에서 준비를 마쳤고, 언제라도 실험을 할 수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앞서 대니얼 크리튼브링크 국무부 동아시아·태평양 담당 차관보와 네드 프라이스 국무부 대변인은 전날 북한이 조만간 7차 핵실험을 진행할 가능성이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고 밝혔다.
김 대표는 북한이 핵실험을 할 경우 신속하고 강력하게 대응할 수 있게 한국과 일본, 그리고 다른 파트너 국가들과 긴밀하게 협력할 것이라며 이 대응은 지금까지 것과 다른 측면이 있으며 단지 하나의 반응이 아닐 것이고,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측면도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미국 전략 자산의 한반도 전개, 유엔 안보리에서의 추가 대북제재 결의안 상정, 동맹국과의 독자적인 추가 제재 추젼 등 다면적인 대응을 할 것이라는 의미로 풀이된다.
김 대표는 북한은 올해 들어 모두 18차례에 걸쳐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을 포함해 31발의 탄도미사일을 발사, 아직 6월인데도 지금까지 최다였던 2019년 25발을 넘어섰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도 그는 북한에 대한 조건 없는 외교적 관여 준비가 돼 있고, 그 시한은 종료 없이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까지 이어진다며 지난해 4월 말 조 바이든 행정부가 대북 정책 검토를 마친 후 제3국·직접·서면 등 복수의 경로를 통해 메시지를 전달했지만북한의 반응이 없다고 밝혔다.
김 대표는 메시지에는 미국 고위관리가 북한 고위관리에서 개인적으로 보낸 것도 있었다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과 식량 문제 등 인도적 지원 등 구체적인 제안도 있었다고 전했다.
김 대표는 ‘바이든 행정부의 대북 제안이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협상에서 제공하려든 것 이상을 포함하고 있는가’라는 질문에 “트럼프 행정부 때 협상 테이블에 올랐던 것을 지금 우리가 기꺼이 하려고 하는 것과 더 비교하는 것이 특별히 생산적인지 모르겠다”며 “북한이 외교의 길을 모색하는 데 관심을 보일 때 보다 포괄적이고 유연하며 열린 자세로 외교에 임할 용의가 있다는 것이 요점이라고 본다”고 답했다.
김 대표는 중국의 역할론과 관련, 중국이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라는 미국의 궁극적인 목표를 공유하고 있다며 본다며 중국이 러시아와 함께 지난달 26일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등 북한의 최근 도발에 대해 새로운 대북 제재안에 거부권을 행사한 것은 미국이 중국에 기대하는 협력을 아니라면서도 중국이 북한의 도발을 지속해 복수의 안보리 결의안을 위반하고, 역내를 불안정하게 하는 것을 바라지 않는다고 본다고 설명했다.
김 대표는 중국과 러시아의 거부권 행사에 대해 “북한이 안보리가 공동 대응하지 못하다는 것을 보고 있다”며 “이는 사실상 안보리 (대북) 결의에 대한 (북한의) 추가적인 도발적 행동과 위반을 조장할 수 있다”고 비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