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 10년 전 미국의 4분의1서 역전...한국, 2.1%
중, AI 논문 인용서도 미국 제쳐
중, 연구개발·인재육성 중장기 발전계획 추진 성과
|
닛케이는 이날 ‘중국, 과학대국 세계 1위 시야...미국의 경쟁력 기반 흔들’이라는 기사에서 이같이 전하고 일본 문부과학성 산하 학술정책연구소가 전날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이 주목도가 높은 논문 수에서 처음으로 세계 1위가 돼 연구의 양뿐 아니라 질적인 면에서도 급속하게 대두되고 있다는 인상을 줬다고 평가했다.
이어 “제2차 세계대전 후 과학 연구를 선도해온 미국의 우위가 없어지고 있으며 이는 산업 경쟁력에도 영향을 줄 가능성이 있다”며 “미국은 1950년대 이후 과학 기술 분야에서 세계를 선도해왔고, 과학 기술이 산업 경쟁력의 원천이며 군사력 우위를 지탱한 토대였는데 그 기반을 중국이 뒤흔들고 있다”고 설명했다.
일본 학술정책연구소가 영국 특허·학술 정보업체인 클라리베이트의 데이터를 분석해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은 2018년(2017~2019년 평균) 인용 상위 10% 논문 점유율에서 24.8%를 기록, 22.9%의 미국을 처음으로 제쳤다.
2008년 점유율은 미국이 34.9%로 7.6%에 머문 중국의 4.6배였는데 10년 만에 역전당한 것이다. 다른 국가의 점유율은 한 자릿수로 미·중에 비해 크게 떨어진다.
2018년 점유율은 미·중에 이어 영국(5.4%)·독일(4.5%)·이탈리아(3.3%)·호주(3.0%)·캐나다(2.8%)·프랑스(2.6%)·인도(2.5%)·일본(2.3%)·스페인(2.2%)·한국(2.1%) 순이다.
앞서 닛케이는 지난 8일 미국 스탠퍼드대 보고서를 인용해 지난해 학술지에 게재된 인공지능(AI) 관련 논문의 인용 실적에서 중국은 20.7%의 점유율로 19.8%에 머문 미국을 처음으로 넘어섰다고 전했다.
닛케이는 중국의 연구력 향상을 지탱하는 것은 적극적 투자와 풍부한 인재라고 평가했다.
2019년 중국의 연구개발비(명목 금액·구매력 평가 환산)는 54.5조엔(568조원)으로 10년 사이에 2배 이상 늘어났다. 1위인 미국의 68조엔(709조원)에는 미치지 못하지만 증가 속도에서는 상회한다.
중국의 연구자 수도 210만명으로 세계에서 가장 많고, 2018년 155만명이었던 미국과의 격차는 더욱 커졌다.
중국의 이 같은 위상은 후진타오(胡錦濤) 국가주석 시대인 2006년 시작한 ‘중국중장기과학기술발전계획개요’라는 전략적 계획에 따른 것으로 이 ‘계획’은 2020년까지 세계 최고 수준의 과학 기술력을 확보한다는 목표를 제시, 연구개발(R&D) 투자를 확충하고 대외 기술 의존도 인하를 추진해왔다고 닛케이는 설명했다.
중국은 인재 확보와 육성에도 중장기적으로 대처해 미국과 유럽의 대학 등에 젊은 인재들을 적극적으로 유학 보냈고, 2008년 시작한 ‘슈퍼급 인재 모시기’인 ‘천인(千人)계획’으로 해외 거주 우수한 연구자들을 적극적으로 불러들였다. 아울러 중국 국내에서도 높은 수준의 인재 육성 계획을 추진해왔다.
닛케이는 중국의 이 같은 기세는 계속될 것으로 보이고, 노벨상 수상도 늘어날 가능성이 크다며 중국은 올해 3월 향후 5년 동안 연구개발비를 민·관 합해서 연평균 7% 이상 인상하는 방침을 발표했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