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근혜 대통령에 대한 헌법재판소의 탄핵 결정 시기에 따라서는 대선 시계가 더 빨라질 수 있다. 현재 여야 정치권에서 거론되는 대선 후보만 줄잡아 15명 이나 된다.
여권과 보수 성향 후보로는 반기문 전 유엔 사무총장, 황교안 대통령권한대행, 유승민 바른정당 의원, 오세훈 전 서울시장, 남경필 경기지사, 원희룡 제주지사, 김문수 전 경기지사 등이 잠룡으로 분류된다.
야권과 중도·진보 성향 후보로는 문재인 전 민주당 대표, 이재명 성남시장, 안철수 전 국민의당 대표, 안희정 충남지사, 손학규 전 민주당 대표, 박원순 서울시장, 천정배 전 국민의당 대표 등이 거론된다. 정운찬 전 서울대 총장도 대선 출마를 기정 사실화하고 있다.
|
여기에 더해 탄핵 정국 속에서 여야 정치권의 정체성이 불명확해지고 정계 개편과 연대의 가능성이 높아져 대선 정국의 불확실성이 한층 증폭되고 있다. 그만큼 대선 후보 검증이 어렵고 중요성도 커졌다.
목진휴 국민대 교수(행정학과)는 10일 아시아투데이와의 전화 인터뷰에서 “대선 검증 기간이 짧을수록 검증을 확실히 해야 한다”면서 “당연히 인성과 정책 검증이 핵심이며 너무 많은 분야을 할 필요가 없다”고 말했다.
특히 목 교수는 “정책 검증은 어떻게, 언제까지, 어느 정도 비용으로 할 것인가를 꼼꼼히 따져 물어야 한다”면서 “그러면 국민들이 무엇을 얻을 것인가는 다 판단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배수호 성균관대 교수(글로벌리더학부장)는 “충분하고 꾸준하게 검증할 시간이 현실적으로 부족하다면 최선 보다는 최악을 피하면서 차선으로 가야 한다”면서 “우리 사회가 리스크를 줄이고 무리수를 두지 않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 이미 검증된 사람을 선택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다”고 제언했다.
다만 배 교수는 “정치·경제·사회·문화 전반에 걸쳐 국가의 큰 디자인을 할 수 있는 능력과 안목, 철학, 비전을 갖추면서 도덕성과 규범, 가치, 윤리 의식이 겸비된 지도자를 뽑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배 교수는 “‘나는 지도자이기 때문에 사람만 잘 쓰면 된다’는 후보는 안 된다”면서 “사람을 잘 가려 쓴다는 것은 기본적으로 자기한테 쓴소리를 하는 사람을 항상 곁에 두는 통 큰 리더십이 있어야 하며 지도자로서 공부와 역량이 안 된 사람은 참모들과 소통도 안 되고 측근들에 휘둘릴 수 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