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은은 내년 2.9%에서 2.8%로 0.1%포인트 내린 한편, 올해 GDP 전망치는 2.7%로 지난 7월 전망을 유지했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13일 금융통화위원회 직후 “우리경제가 안고 있는 구조적인 문제는 물론이고 단기적인 리스크 요인을 모두 고려해 (경제성장률을) 전망하는데 참조했다”며 밝혔다.
영국의 유럽연합 탈퇴(브렉시트) 여파가 가시지 않은 가운데 미국의 금리인상과 중국을 비롯한 신흥국의 성장둔화 등 세계경제의 부진은 수출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 대내적으로도 기업 구조조정에 따라 경제주체들의 심리 위축이 커진 상태다.
한은이 내년도 경제전망치를 내렸지만 여전히 LG경제연구원(2.2%)·한국경제연구원(2.2%)·현대경제연구원(2.5%) 등 민간기관보다 낙관적인 전망을 내놓고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이 총재는 “내년에는 세계경제가 회복세를 이어가면서 교역량도 나아져 수출요건이 올해보다 나을 것으로 전망한다”며 “수출여건이 좋아지면 설비투자도 회복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하지만 우리나라 수출기업의 양대 축을 형성하고 있는 삼성전자의 갤노트7 사태와 자동차업계의 파업 장기화, 그리고 내수에서는 김영란법이 변수로 지목된다.
이 총재는 “삼성전자가 우리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크기에 휴대폰의 생산차질 등을 전망에 고려했다”면서도 “충분히 반영했다고 볼 순 없겠지만 삼성전자가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있어, 여타 제품으로의 이전 효과도 감안해 앞으로 수출이나 국내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최소화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김영란법에 대해서는 아직 시행 2주밖에 안된 점을 감안해 앞으로 내수경제에 미치는 파급력을 신중히 검토하기로 했다.
한편 이날 금융통화위원회는 가계부채의 높은 증가세와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의 정책금리 인상가능성에 유의해 만장일치로 기준금리를 현 수준인 1.25%로 동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