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군사 정보에 밝은 베이징 소식통의 31일 전언에 따르면 이중 중국의 독자 MD 시스템 구축은 이미 대외적으로도 공포됐다고 볼 수 있다. 양위쥔(楊宇軍) 국방부 대변인이 최근 월례브리핑에서 지난 2010년과 2013년 두 번에 걸쳐 실시한 미사일 요격실험 성공장면을 공개한 것과 관련해 “적절한 미사일 방어체계 능력을 발전시켜 국가안보를 수호할 필요가 있다.”고 밝히면서 사드 대응에 나서고 있는 입장을 굳이 숨기지 않은 것.
|
S-400도 주목을 요한다. 사드 문제가 한참 화제가 됐을 때인 지난 2014년 중국이 30억 달러(3조4000억 원)을 들여 2개 포대를 도입하기로 이미 계약을 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러시아는 당초 기술 유출을 우려해 계약에 소극적이었으나 한국과 미국의 사드 배치 방침에 대응한다는 차원에서 결단을 내렸다고 한다.
지난 2007년부터 실전 배치된 S-400 1개 포대는 최대 6개의 미사일 발사 시스템을 보유하고 있다. 각 시스템은 최대 12개의 미사일 발사대를 이용해 48발의 미사일을 발사할 수 있다. 단순 계산하면 한 번에 총 96발의 미사일 발사가 가능하다는 결론이 나온다. 이에 대해 익명을 요구한 전직 인민해방군 대교(대령과 준장 사이) C 씨는 “중국은 이미 사드의 한국 배치가 되돌릴 수 없는 결정으로 판단하고 있다. 그리고 최종 목적이 중국 내 미사일의 현황을 샅샅이 살피기 위한 것으로 보고 있다. 때문에 이에는 이, 눈에는 눈이라는 입장에서 오래 전부터 자체 MD 구축과 S-400의 도입을 결정했다.”면서 한반도를 중심으로 점증하는 군비 경쟁을 우려했다. 북한 미사일에 대응하기 위해 도입한 사드 배치 결정이 엉뚱한 상황을 불러오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 듯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