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특히 목포해양항만청은 맹골죽도 유인등대 요청을 받고도 적극적인 대처를 하지 않아 대형 참사를 불렀다는 지적까지 일고 있다.
29일 진도군의회와 맹골죽도 주민 등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맹골수도 지역 주민들은 ‘맹골죽도 (등대) 유인화 필요성’ 제하의 문건을 작성, 해양수산부에 제출한 것으로 알려졌다.
맹골죽도 등대는 지난 1907년 12월 등대지기가 상주한 유인 등대로 업무를 시작했으나 2009년 6월 무인화 돼 해양사고에 대한 적극적 대처가 어렵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
주민 대표들은 문건에서 ‘맹골죽도 등대 무인화로 (맹골수도 지역은) 항상 해상안전사고에 노출되고 있다’며 ‘맹골죽도 등대가 유인화되면 항해선박 안전은 물론 지역주민들에게도 버팀목이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무인등대는 어선의 항로를 알려주는 역할에 불과하지만, 사람이 주변을 감시하는 유인등대는 어선 등의 이상 상황 등을 포착할 경우 해당 사실을 해경은 물론 인근 어선에 알려 대형 참사를 막을 수 있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주민들은 맹골죽도에서 서거차도와 약 8㎞, 병풍도와도 약 9㎞ 거리에 불과하고, 사고지점과도 10㎞ 안팎의 거리를 유지하고 있어 유인등대가 설치됐을 경우 피해를 대거 줄일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세월호는 맹골죽도와 서거차도 사이로 잘못 진입해 운행하다 병풍도 북측 4㎞ 지점에서 침몰했다. 이 과정에서 3차례 항로를 이탈했기 때문이다.
당시 유인등대 설치를 주장한 주민 A모씨(65)는 “맹골죽도에 유인등대가 설치 됐더라면 세월호 침몰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문건은 군도군의회를 통해 해양수산부 산하 목포해양항만청에 제출됐으나, 아직까지 답변을 듣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장영태 진도군의회 의장은 “주민들과 함께 맹골죽도 등대 유인화 설치 요청서를 목포해양항만청에 제출한 뒤 해수부로 전달해 줄 것을 요청했으나 답변을 얻지 못했다”고 말했다.
주민들은 또 지역 국회의원에게 똑같은 내용의 문건을 전달하려고 했으나, 지역내에서 만날 수 없어 전달을 포기했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