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확산 으로 최소 인원만 참석해 열려
|
문 대통령은 이날 기념식에 참석한 광복회원 및 4부요인 정당대표, 정부 주요 인사 등과 함께 3·1절 101주년을 맞아 지난 100년의 성과를 기억하고 새로운 100년을 향해 나아가는 첫해의 각오를 다졌다.
또 문 대통령과 참석자들은 1920년 3월 1일 일제의 삼엄한 통제 속에서도 배화학당(현 배화여고)과 서대문형무소, 상하이·도쿄·간도·블라디보스토크 등 국내외 곳곳에서 펼쳐진 1주년 만세운동에 서려 있는 국난극복의 강인한 희망과 의지를 되새겼다.
이번 기념식은 대한민국의 새로운 100년을 향한 첫해의 의미를 전달하기 위해 기존 국경일 행사와는 달리 여러 가지 새로운 형식을 도입됐다.
국기에 대한 경례와 애국가, 묵념 및 3·1절 노래 등 기념식에 쓰인 모든 곡은 이승환밴드가 참여해 새로운 감각으로 편곡하여 녹음했다.
순국선열과 호국영령에 대한 묵념은 조정래 작가가 101주년을 맞이한 3·1절의 의미를 담아 탈고한 묵념사를 직접 낭독했다.
또 ‘전 세계에 알리는 독립선언서’라는 주제로 1919년 당시의 원문 뿐 아니라 영어, 일본어, 중국어, 러시아어, 수어(手語), 쉽고 바르게 읽는 3·1독립선언서 순으로 낭독됐다.
행사의 마지막 순서에서는 최근 CES(Consumer Electronics Show·국제전자제품박람회)에서 주목을 받은 ‘실사형 디지털 아바타’의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해 김구, 유관순, 홍범도 등 독립 영웅 3인이 등장해 만세삼창을 선도했다.
이날 기념식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를 감안해 통상 대규모로 진행된 예년과 달리 이번 3·1절 기념식은 약 50여 명이 참석하는 소규모 행사로 치러졌다.
특히 참석자에 대해 사전 발열 체크와 문진을 실시하고, 의심증상자 발생을 대비해 격리공간과 응급이송체계를 확보하는 등 철저한 방역대책이 시행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