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진선 군수 "최고수준 교육으로 환경인식 고취"
|
10일 양평군에 따르면 환경부는 지난해 9월 1일 양평군을 포함한 6곳을 환경교육도시로 선정한 바 있다. 환경교육도시는 '환경교육의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법률'에 따라 매년 우수한 환경교육 기반과 실적, 계획을 보유한 지자체를 환경부가 지정하는 제도다. 당시 양평군은 군 단위 지자체로는 유일하게 환경교육도시로 인정받았다.
천혜의 자연을 간직한 청정도시 양평은 '사람과 자연 행복한 양평'이란 슬로건으로 '사람과 자연이 공존하는 지속 가능 도시'를 구축하기 위해 노력 중이다. 양평군은 환경교육도시에 선정된 이후 환경의 패러다임 변화에 발빠르게 대응하기 위해 환경교육국을 신설했다.
여기에 2035년까지 기후위기 적응사업, 온실가스 인지예산제 등을 도입하는 탄소중립 마스터플랜도 시동을 걸었다. 양평군은 2027년 오픈을 목표로 탄소중립지원센터 건립도 추진 중이다. 탄소중립지원센터는 온실가스 감축 목표, 기후위기 대응기반 강화 대책 등을 연구한다. 양평군은 오는 6월 관련 조례를 개정해 센터 운영을 위한 제도적 근거를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1회용품 없는 도시 구축과 자원순환경제에 대한 인식 개선을 위한 '현장 체감형 자원순환교육'도 눈에 띈다. 양평군은 지난해 용문산 산나물축제, 밀 축제, 읍·면 행사 등에 다회용기 16만8000개를 지원했다. 이를 통해 연간 9.2톤의 탄소 배출량을 줄이는 성과를 거뒀다. 이를 기반으로 올해는 23개 축제에 60만 개의 다회 용기를 보급해 32.8톤의 탄소배출량을 감축할 방침이다.
이와 관련 양평군은 군청 내 1회용컵 사용도 전면 금지하고 다회용컵 사용을 의무화했던 바 있다. 공공기관부터 변화의 바람을 일으켜 1회용품 사용을 줄이는 데 앞장서고 솔선수범하겠다는 이유에서다.
|
아울러 양평군은 탄소중립을 위해 자전거 레저특구라는 지역적 특성과 환경 생태 프로젝트를 연계해 지역내 23개 초등학교 4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자전거 교육을 실시할 예정이다.
양평군의 환경보호 관련 주민 체감형 교육도 눈길을 끈다. 주민들은 자원순환센터에 방문해 전문 강사와 함께 쓰레기 처리과정 등을 탐방하며 쓰레기 배출에 대한 경각심과 자원순환의 중요성을 배우고 있다. 지난해는 연간 63회 교육을 통해 1457명의 주민에게 자원순한의 인식변화를 체감케 했다. 올해는 교육 횟수를 90회까지 늘려 2200여 명의 주민들에게 해당 교육을 제공할 예정이다.
농업에서도 환경 정책이 잘 드러난다. 친환경농업특구인 양평군은 농업분야에서 탄소 배출 저감을 위해 저탄소 농업기술을 도입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저탄소 농업 벼 재배 프로그램 시범사업으로, 이 사업은 논의 물을 말려 기존 물을 가둘 때 생기는 메탄가스를 방지하는 친환경 농업방식이다.
전진선 군수는 "지역의 환경자원을 연계한 맞춤 생태감수성 교육 등 대한민국 최고의 환경교육을 추진해 환경에 대한 인식을 고취시킬 것"이라며 "급변하는 기후 등에 적극 대응하기 위해 환경 관련 정책과 시설, 생산지원을 강화해 미래 환경정책을 선도하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