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기업은 이날 정보통신 서비스 기업이 일정 규모에 해당할 경우 의무적으로 받아야 하는 정보보호 관리체계 인증(ISMS)이 중소기업 입장에서는 부담이 상당한데 제도의 완화 또는 관련 지원방안을 요청했다. 박 옴부즈만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도 중소기업의 부담 완화를 위해 보다 경량화된 인증기준 마련을 추진 중이라고 한다. 오랫동안 해결되지 않는 문제지만 이번 기회에 다시 적극 협의해 개선에 힘을 보태겠다"고 말했다.
또 B기업은 사회적기업 일자리창출사업 재참여 제한 기간을 줄여달라고 요청했다. 이에 대해 박 옴부즈만은 "고용노동부도 사회적기업의 지속 성장을 위해서는 재참여 제한 기한을 단축하는 것에 공감했다. 올해 재정지원사업 지침 개정 시 재참여 제한 기한을 36개월에서 24개월로 단축했다"고 설명했다.
이외에도 참여기업들은 중진공을 상대로 정책자금 관련 애로를 주로 요청했다. A기업은 정책자금 신청 애로와 지원 확대, B기업은 중진공 정책자금 기준금리 인하 등을 건의했다. 이에 대해 김학도 중진공 이사장은 "어려운 시기 기업인들의 애로에 공감하여 중진공 정책자금은 시중은행권 대비 저금리 기조를 유지하고 있다"며 "정책지원 우선순위가 높은 기업이 자금을 신청하지 못하는 사례를 방지하고자 올해 디지털시스템 기반의 지원 프로세스로 개편해 기업의 자금 신청기회를 확대하고 적합기업을 사전 선별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답했다.
이날 간담회에 참석한 기업들은 △GS(Good Software) 인증제도 개선 △업종·제품별 필수 인증제도 정보제공 △중소기업 지원정보 접근성 제고 △청년창업가에 대한 지원 확대와 중소 정보기술(IT)기업 재직자의 장기근속 지원 등의 안건을 건의했다. 이에 대해 김 이사장은 "중진공이 지원 가능한 부분은 적극 검토하고 정부 건의사항은 옴부즈만과 협력해 중소기업의 목소리가 잘 전달되도록 적극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박 옴부즈만은 "서울은 문화컨텐츠, 지능형 정보통신기술(ICT)의 핵심도시이고 그 중에서도 가산디지털단지는 우리나라를 이끌어가는 스타트업(신생 벤처기업), 벤처기업들이 모인 중요한 곳"이라며 "기업들의 건의와 애로를 관계부처에 잘 전달하고 개선까지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