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침수위험가구 살리는 ‘종로비상벨’…전국 최초 ‘본격 가동’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428010016312

글자크기

닫기

한평수 기자

승인 : 2025. 04. 28. 11:02

위험땐 침수센서·비상벨 119 자동 연결, 골든타임 확보
지난해 시범사업이어 올해 예산 3억7500만원 마련
정문헌 구청장 "사업 성공해 전국으로 확산됐으면"
정문헌1
정문헌 종로구청장이 침수취약가구 '종로 비상벨'을 누르며 시험 가동을 해보고 있다.
지난해 전국 최초로 가동해 효과가 검증된 '종로 비상벨'이 올해 정부의 예산 도움을 받아 확대된다.

종로 비상벨은 지하주택, 하천주변, 침수이력가구 등에 설치되어, 119와 연계 장마철 침수 위기 때 인명구조 골든타임을 확보하는 시스템이다. 지난해 합동시연과 실시간 모니터링으로 위험상황에서 자동 신고가 이루어져 주민 안전확보에 효과적이라는 평가를 받았다.

28일 종로구에 따르면 구는 지난해 시범사업이 반응이 좋자 국비와 시비 3억 7500만원을 따내 2026년까지 단계별로 확대하기로 했다.

서울시에서는 오세훈 시장의 역점사업인 '약자와의 동행' 일환으로 7500만원을,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에는 '스마트빌리지 보급 및 확산' 명목으로 국비 3억원을 마련했다.

비상벨의 핵심은 침수센서와 벨이다. 현관문·창문 등에 설치된 센서가 경계 단계(2cm)에 빗물이 차오르면 이를 감지해 구청과 거주자, 보호자 등에게 문자를 발송한다. 위험 단계(15cm) 이상이면 자동으로 신고 처리돼 소방서가 출동하는 방식이다.

거주 주민이 직접 신고하는 방식도 가능하다. 위급시 비상벨을 직접 누르면 119에서 쌍방향 통화로 상황을 파악한 뒤 신속하게 현장에 출동한다.

정문헌 종로구청장은 "119연계 종로 비상벨이 지하주택 등 재해취약지역의 안전사고 예방의 모범 사례로 자리 잡아 전국으로 확산될 수 있도록 하겠다"며 "주민 생명과 재산 보호를 위한 실제적인 정책을 개발하겠다"고 밝혔다.

종로구는 올해 확보한 예산으로 중증장애인 등 재해취약가구와 침수이력가구 등 총 20가정에 장마철이 시작되기 전인 5월까지 비상벨 설치를 마무리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종로소방서와 협의체를 구성해 하천, 저지대, 지하차도 등에 비상벨 설치를 확대한다.

한평수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