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7일 춘천시에 따르면 미리내봄은 소비자가 평소 자주 찾는 골목상권이나 전통시장 내 상점에 미리 결제한 뒤 재방문을 약속하는 방식으로 이뤄지며, 소상공인의 자금 유동성과 매출 증대에 도움을 주고 있다.
선결제는 사무용품점, 음식점, 문구점 등 다양한 업종으로 확대되고 있으며, 상인들의 호응도 높다는 게 춘천시 측의 분석이다.
특히 관내 공공기관이 일반운영비와 업무추진비 총액의 40%를 선결제하는 방식으로 참여해 직접적인 소비 진작 효과를 내고 있다. 지난달 31일 업무 협약을 맺은 춘천도시공사, (재)춘천바이오산업진흥원, (재)강원정보문화산업진흥원, (재)춘천문화재단도 홈페이지에 캠페인 참여모습을 올리면서 선결제 홍보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춘천시청 내 64개 부서도 '미리내봄' 캠페인에 참여했다. 춘천시는 이달 말까지 캠페인을 지속할 예정으로, 참여 부서 및 기관은 더 늘어날 전망이다. 민간 참여도 활발하다. 교동 통장협의회와 주민자치회를 비롯한 마을 자생단체들도 선결제에 동참하면서 지역 내 상생 분위기를 조성하고 있다.
춘천시는 향후 사회관계망서비스(SNS) 등 다양한 채널을 통해 캠페인을 홍보하고, 민간의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할 계획이다.
경창현 시 경제정책과장은 "착한 소비로 지역공동체를 살리고, 지속적인 참여를 독려해 민간의 자발적인 동참이 확산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며 "캠페인 종료 이후에도 민생경제 회복을 위해 적극적인 정책을 펼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