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호 "다음 정부 기다리지 말고 현 정부와 대화하자" 설득 총력"
|
이 부총리는 25일 국회 교육위원회 현안질의에서 "등록 완료 이후 실제로 돌아오는 숫자의 증가는 아직 미미하다"며 "4월 말 전에 의대생 단체인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학생협회'(의대협)를 비롯해 학생 대표와 대화가 성사돼 다 복귀하는 좋은 계기가 마련됐으면 한다"고 말했다.
교육부는 전날 전국 40개 의대 학생회와 의대협에 대면회의를 제안하는 공문을 발송했다. 논의 주제는 '의대교육 정상화 방안'과 '향후 의대교육 방향'이다. 현재 학생회와 의대협 측은 회의 참여 여부를 논의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 부총리는 "학생들이 다음 정부를 기다리고 돌아오지 않는 것은 정말 어리석은 일"이라며 "다음 정부에서 대화할 수 있는 건 그 정부와 하면 되니까 일단 이 정부와 빨리 대화해서 복귀를 완료하자고 설득 중"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그는 "한 14명의 의대생들과 공식적인 대화를 했는데, 상당히 희망적인 내용이 있었다"며 분위기 변화 가능성을 언급하기도 했다.
최근 수업에 복귀한 학생들에 대한 집단 괴롭힘이 이어지고 있다는 지적에 대해선 "복귀한 학생들의 보호는 최우선으로 강조하고 있다"면서도 "정부가 아무리 노력해도 아주 오래된 체제 내에서 성행하는 부분을 100% 보호해드리지 못하는 점은 안타깝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 부총리는 의대 정원 조정과 관련해 보건복지부와 이견이 있었으나 "정책적 결론이 날 때는 충분히 협의해서 결론을 내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앞서 교육부는 2026학년도 의대 모집정원을 5058명에서 3058명으로 환원한 바 있다.
그는 "정원을 환원하는 불가피한 조치를 했지만, 의대 교육의 질을 획기적으로 높이자는 각오를 계속 갖고 있다"며 "투자 확대 등 질 개선 방향은 변함없이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