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 경찰들 “집중력 저하·피로 누적” 토로
"디지털 격차 해소 문제도 고려돼야" 지적
|
24일 경찰청에 따르면 경찰은 이태원 참사 당시 정보 공유 지연을 반면교사 삼아 신고 접수 후 상황을 실시간으로 공유하는 시스템을 마련하고자 2023년 6월 '112사건 전파앱'을 도입했다. 현재는 전국 경찰서장을 비롯해 형사·교통·여성청소년과 등 관련 부서 과장, 지역 관서장들이 사용 중이다. 경찰은 이 앱의 활용 대상을 지역 경찰까지 확대하기 위해 지난해 약 1억원의 예산을 확보해 앱 고도화 작업을 추진했고, 올 3월 보안성 검토를 마치고 지역까지 포함한 앱을 최종 개발했다.
112사건 전파앱을 사용하며 경찰은 기존 문자 전파 방식에서 벗어나 디지털 앱을 통한 실시간 정보 공유가 가능해졌다. 실제로 지난해 경찰이 정보 공유를 위해 전파한 문자는 3374만건이었다. 문자 1건당 24.85원에 달하는 비용을 절약하게 되면서 경찰은 연간 8억7000만원 상당 예산 절감 효과도 기대하고 있다.
하지만 현장에서는 사용자 피로도와 업무 스트레스 문제를 제기한다. 실시간 알림이 연속적으로 울릴 경우 기존 문자나 SNS보다 정보 과부하를 유발할 가능성이 크다는 지적이다. 특히 앱이 개인 휴대폰에 설치될 경우 근무 외 시간에도 경보가 울리는 상황이 발생하면서 공과 사의 경계가 무너질 수도 있다.
일선의 한 경찰 관계자는 "퇴근 후 가족과 함께 있는 시간에도 알림이 울리면 긴장 상태를 유지할 수밖에 없다"며 "상황 전파 목적은 이해하지만, 과도한 알림은 오히려 집중력을 해칠 수 있다"고 토로했다.
전문가들은 앱의 도입 취지는 명확하지만 디지털화의 이면에 자리한 '피로 사회' 문제까지 함께 들여다봐야 한다고 했다. 기술의 도입은 효율 향상을 목표로 하지만, 사용자 교육과 디지털 격차 해소 등 외적인 문제도 함께 고려돼야 한다고 했다.
이웅혁 건국대 경찰학과 교수는 "112신고는 매우 많고, 그중에는 거짓 신고나 중요도가 낮은 신고도 상당수 포함돼 있다. 모든 내용을 경찰관 전원에게 전파하면, 오히려 선택과 집중이 어려워지고, 둔감화 현상이 생길 수 있다"며 "코드 제로나 코드1 등 중요도에 따라 선별적으로 전파하는 방안을 고려해야 한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