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바이오 등 미래전략분야 19개 DCP 과제 선정…기정원 분산 전략기능 단일체계 통합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424010014230

글자크기

닫기

오세은 기자

승인 : 2025. 04. 24. 14:00

중기부, '2025년 딥테크 챌린지 프로젝트(DCP) 전략 간담회' 개최…2025년 DCP 신규 과제 발표
1
오영주 중기부 장관이 24일 서울 강남구 팁스타운에서 열린 '딥테크 챌린지 프로젝트(DCP) 간담회'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정부가 바이오, 인공지능, 반도체 등 미래전략분야 19개 딥테크 챌린지 프로젝트(DCP) 과제를 발표했다.

중소벤처기업부는 24일 서울 강남구에 있는 팁스타운에서 '2025년 딥테크 챌린지 프로젝트(DCP) 전략 간담회'를 개최하고 2025년 DCP 신규 과제를 발표했다.

DCP는 중소벤처기업이 고위험·고성과 R&D에 과감히 도전할 수 있도록 민·관 합동으로 최대 100억원 내외의 자금을 지원하는 대규모 R&D(연구개발) 프로젝트이다. 이번 DCP 참여 기업의 기술수요 140개를 바탕으로 바이오 등 미래 전략분야의 19개 과제를 최종 확정했다.

분야별 주요 출제과제는 첨단바이오는 액체생검을 통한 암진단기기 개발 등 4개이다. AI를 활용한 데이터 정밀분석을 바탕으로 암의 조기진단과 전이, 재발, 예후까지 예측하는 것이 목표다. AI는 간호업무 지원을 위한 AI 기반 다기능 로봇 솔루션 개발 등 2개이다. AI를 기반으로 의료인, 환자의 요구와 주변 환경을 고려해 최적화된 추론 기술을 개발하고 간호 업무지원 솔루션을 개발하는 프로젝트다.

반도체·디스플레이는 멀티사이즈 웨이퍼 기반 인터포저 제조용 도금 양산장비 개발 등 3개로 이번 프로젝트는 첨단 반도체 패키지를 구현하기 위해 다양한 크기의 웨이퍼에 대응할 수 있는 도금 양산 장비를 국산화하는 기술이다. 균일도를 제어하는 알고리즘을 개발해 높은 균일도와 생산성, 품질을 갖추는 것이 목표이다. 그 외 이차전지, 모빌리티, 우주항공, 탄소중립 분야 10개 프로젝트가 있다.

이상 출제된 과제의 상세한 제안서(RFP)는 전략기술 뱅크에 등재돼 있으며 중기부는 연중 상시로 신규 과제들을 기획해 추가 등재해나갈 계획이다. 중기부는 올해 전략기술뱅크에 등재된 DCP 프로젝트를 수행할 기업 20개를 선정·지원한다.

중기부는 이번 간담회를 통해 'DCP 사업 개편방안'도 발표했다. 주요내용은 우선 DCP 기획 기반을 기존 기업 중심의 수요조사에서 전략기술로드맵 중심으로 전환한다.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의 R&D 전략 기획 기능 강화를 위해 분산된 전략기능을 단일체계로 통합·운영한다. 투자사가 유망기업을 발굴·추천하는 추천제를 탈피해 투자사나 연구기관도 평가대상이 될 수 있는 '프로젝트 팀(기업·투자사·연구기관 컨소시엄)' 선정 방식으로 전환하고 연중 상시 접수·평가한다. 전략기술 뱅크를 도입하고 프로젝트를 공개했다.

출연 R&D 이후 지분투자를 연계하는 단계별 지원 구조로 전환했다. 이에 따라 지분투자는 프로젝트 팀이 유치한 후속투자에 비례해 2배수 내로 지원된다. R&D 결과가 사업화 성과로 이어질 수 있도록 프로젝트별로 PM을 일대일 매칭하고 세부집행의 자율성과 책임성을 강화한다. 시장 변화에 대응해 개발 목표를 수정할 수 있는 무빙타겟방식이 적용된다.

오영주 중기부 장관은 "글로벌 무한기술경쟁시대에 기술주권을 확보하고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중소벤처기업의 혁신과 도전을 뒷받침하겠다"고 말했다.
오세은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