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선 "예술 생태계 발전에 기여할 것"
현대차, 10년 이상 아트 파트너십 다수 진행
|
18일 현대차는 향후 10년간 다양한 기관의 초지역적 예술 협업을 지원하는 신규 파트너십 '현대 트랜스로컬 시리즈'를 공개했다. 이를 통해 지역 활성화, 예술의 다양성·확장성 경험, 개방적·통합적 협력이 중심이 되는 예술 생태계 형성을 추구한다.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은 "현대 트랜스로컬 시리즈를 통해 한국 예술 생태계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지역 미술의 활성화에 기여할 것"이라며 "새로운 예술적 실천에 동참하고자 하는 기관들을 다각도에서 지원하며 초지역적 협업의 장을 마련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현대차는 특히 공통된 비전을 기반으로 참여 교류 기관 간 지속 가능한 협업 관계를 구축할 수 있도록 연구·신작 커미션을 비롯해 전시·연계 프로그램 진행까지 포괄적인 지원에 나설 방침이다.
현대 트랜스로컬 시리즈의 막을 여는 첫 번째 교류로 대한민국 청주에서 진행하는 2025 청주공예비엔날레와 '코트노폴리스(방적 도시)'로 불리며 19세기 글로벌 섬유 산업의 중심지였던 영국 맨체스터에 위치한 휘트워스 미술관이 협업한다.
'섬유 공예와 커뮤니티'에 초점을 맞춰 한국·인도를 중심으로 활동하는 작가 8인을 초청하는 신작 커미션과 연구·교류 프로그램으로 구성되며 인도 국립공예박물관과도 협력할 계획이다.
현대 트랜스로컬 시리즈의 두 번째 교류는 '백남준아트센터(대한민국 용인)'와 '피나코테카 미술관(브라질 상파울루)'이다. 지구 대척점에 위치한 양 기관은 '미디어와 퍼포먼스'를 주제로 물리적인 거리를 극복하는 초지역적 교류를 상징적으로 보여 줄 예정이다.
한편 현대차의 중장기 아트 파트너십은 이번이 다섯번째다. 시작은 2013년 국립현대미술관과 체결한 10년 후원 협약으로 한국 중진 작가들의 대규모 전시를 지원했다. 이듬해 영국 테이트모던 미술관과 11년 파트너십을 맺고 혁신적인 현대미술 전시에 기여했다.
2015년에는 미국 LA카운티미술관과 손 잡고 10년 동안 '아트+테크놀로지' 프로젝트를 진행했다. 지난해는 미국 뉴욕의 휘트니 미술관과 10년 후원 협약을 체결하고 격년으로 진행되는 '휘트니 비엔날레'를 후원하고 '현대 테라스 커미션'을 통해 대형 설치 작품을 선보인다.
업계 관계자는 "현대차가 10년 전부터 미술관 등과 중장기 파트너십을 통해 브랜드에 예술적 이미지를 입히고 있다"며 "정의선 회장의 아트 경영이 글로벌 톱3에 걸맞은 브랜드 위상과 헤리티지 형성에 많은 기여를 하고 있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