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5%는 "중립적"… 오차범위내 갈려
|
아시아투데이가 한국여론평판연구소(KOPRA)에 의뢰해 지난 1월 31일~2월 1일 이틀간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5명을 대상으로 여론조사 한 결과, 헌법재판소의 정치적 중립성에 대해 '중립적이지 않다'라고 응답한 여론은 47%, '중립적이다'라고 응답한 여론은 45%로 오차범위 내에서 반으로 갈라졌다. '잘 모른다'라고 답한 응답자는 7%다.
연령별로 '중립적이지 않다'는 응답은 △18~29세 42% △30대 46% △40대 32% △50대 46% △60대 59% △70세 이상 62%로 나타났다. '중립적이다'는 응답은 △18~29세 48% △30대 44% △40대 62% △50대 52% △60대 36% △70세 이상 28%로 집계됐다. 남녀 성별로는 남성 52%, 여성 43%는 '중립적이지 않다'고 응답했다. '중립적이다'고 응답한 비율은 남성 44%, 여성 46%였다.
지역별로 '중립적이지 않다'라는 응답은 △서울 47% △인천·경기 45% △대전·세종·충청 54% △광주·전라 35% △대구·경북 52% △부산·울산·경남 52% △강원·제주 48%로 집계됐다. '중립적이다'라는 응답은 △서울 48% △인천·경기 47% △대전·세종·충청 37% △광주·전라 62% △대구·경북 42% △부산·울산·경남 41% △강원·제주 30%로 나타났다.
대통령 지지도별로 '중립적이지 않다'라는 응답은 윤 대통령 지지층에서 88%, 지지하지 않는다는 층에서는 11%, 잘 모른다고 응답한 층에서는 46%로 집계됐다. 헌재가 '중립적이다'라는 응답은 윤석열 대통령 지지층에서는 7%, 지지하지 않는 층에서는 80%, 잘 모른다고 응답한 층에서는 40%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는 무선 RDD를 이용한 ARS조사 방식으로 진행했다. 응답률은 11.8%(8516명 중 1005명)이며 2024년 12월 말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기준으로 성별·연령별·지역별 가중값을 부여했고,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1%포인트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