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 차관은 “글로벌 오버더톱서비스(OTT)가 국내에 공격적으로 진출하면서 OTT를 통해 콘텐트 소비가 대중화됐다”며 “미디어 플랫폼 간 경계가 없어지고 OTT 콘텐트의 중요성이 커졌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는 “국내 콘텐트 제작 시장 또한 확대되면서 새로운 기회를 맞고 있다”며 “이 같은 K-콘텐트의 인기가 국내 미디어의 산업 성장과 선순환해 경쟁력이 지속되도록 업계 모두 힘을 모아야 한다”고 당부했다.
이를 위해 정부는 규제 혁파를 약속했다. 박 차관은 “변화된 미디어 환경에 발맞춰 소유와 경영 등 사전 규제를 크게 완화하고 불필요한 행정절차 개선해 자유로운 사업 환경을 조성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우수한 콘텐츠 제작과 확보 위해 다큐멘터리 등 방송 제작과 가상제작 스튜디오 등 인프라를 지원할 것을 약속했다.
창작 환경과 관련해선 “창작자가 대접 받는 근로 환경을 조성하고 정보통신산업(ICT)와 콘텐트 워크플로우 지원을 통해 환경 개선 폭을 확대하겠다”며 “과기정통부도 지원 아끼지 않을 것”이라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