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 후보자는 30일 “교육은 속도가 아니라 방향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며 “안정된 교육개혁을 위해 당면한 현안은 물론 긴 호흡이 필요한 교육정책도 최선을 다해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미래인재 양성을 위한 국가의 책임과 역할도 높이도록 노력하겠다”며 “미래세대를 위한 사회적 투자를 강화하고, 사회안전망 확대와 격차 해소를 위한 사회부총리의 역할에도 최선을 다하겠다”고 덧붙였다.
이 외에도 그는 “학생, 학부모, 교사 등 현장과 소통하며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정책 발굴에도 노력할 것”이라며 무거운 책임감을 느낀다는 소감도 밝혔다.
더불어민주당 재선 의원인 유 후보자는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간사를 역임했으며, 고교 무상교육 초·중등교육법 개정안과 취업후학자금상환특별법 개정안 등 교육비 부담을 더는 법안, 포항 지진 사태 등 안전한 교육환경 조성을 위한 교육환경보호법, 교육시설기본법 등 교육관련 법안을 발의한 바 있다.
한편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와 전국교직원노동조합 측은 유 후보자의 지명을 환영했다. 교총은 “중요한 교육현안을 둘러싼 갈등과 혼선이 발생하고 있고 교육부에 대한 불신이 큰 어려운 시기에 중책을 맡았지만, 전문성과 정치력을 갖춘 유 후보자가 잘 이끌 것”이라고 말했다.
전교조 측도 “좌초 위기인 교육개혁을 다시 시작할 적임자”라며 “교육현안을 여러 교육주체와 소통해 원활히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반면 공정사회를 위한 국민모임 측은 “유 후보자는 수능절대평가를 전제로 하는 고교학점제를 적극 찬성하며, 기초학력미달자가 전국 평균보다 3배가 높은 혁신학교에 대해서도 적극 찬성하는 입장”이라며 “유 후보자의 지명은 김상곤 전 장관의 불통과 독단적 행정의 연장선상으로 보며 이번 지명을 심히 우려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학생과 학부모의 뜻과 반대방향으로 간다면 결코 좌시하지 않을 것이며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지명철회 투쟁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