靑 "격의 없는 실무적 회담 확대 합의, 남북 역사상 이례적"
|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이날 오전 청와대 춘추관에서 기자들과 만나 “북측에서 김 위원장의 구상이라고 하면서 이런 격의 없는 소통을 한번 갖는 방안을 제시해 왔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서훈 국가정보원장과 김영철 북한 통일전선부장 간의 소통 경로를 통해 북·미 정상회담 준비 과정, 4·27 판문점 선언 후속 조치 등에 관한 협의가 있었고, 그 과정에서 김 위원장의 구상이라는 제안이 있었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 관계자는 “두 사람의 접촉 이후, 관련 장관들과의 협의를 통해 문 대통령에게 건의했고, 문 대통령이 승낙을 해서 25일 밤부터 어제(26일) 오전까지 실무적 준비를 마치고 오후에 정상회담이 개최됐다”고 말했다.
특히 이 관계자는 “실무차원에서 보면 어제(26일) 판문점 회담은 4·27 남북 정상회담 이후 남북 정상 간의 구축되고 있는 신뢰 관계가 더욱 돈독해졌다는 점에서 아주 높이 평가한다”며 “남북 관계 발전과 판문점 선언의 이행이 앞으로 탄력을 받을 것으로 믿는다”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특히 남북 정상이 필요하다면 언제든지 다양한 방식의 소통을 확대해나가고 또 격의 없는 실무적 성격의 회담을 갖자고 합의한 것이 남북 관계 역사상 이례적인 진전이라 평가한다”고 했다.
문 대통령도 이날 오전 2차 남북 정상회담 결과를 직접 발표하면서 “김 위원장은 그제(25일) 오후, 일체의 형식 없이 만나고 싶다는 뜻을 전해왔고, 저는 흔쾌히 수락했다”며 “친구 간의 평범한 일상처럼 이루어진 이번 회담에 매우 큰 의미를 부여하고 싶다. 남북은 이렇게 만나야 한다는 것이 제 생각이다”고 강조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