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최근 스타트업 관계자들의 명함을 받는 일이 잦았습니다. 언론사, 기업체의 명함과는 다른 색다른 면이 있더군요. 명함은 그 회사의 정체성을 나타내줍니다. 스타트업의 자유로운 분위기를 그대로 살린 명함들을 속속들이 파헤쳐 보겠습니다.
◇ 크기
◇ 할인쿠폰·메모
◇ 신비주의
◇ 로고
◇ 톤 앤 매너 파괴
◇ 고퀄리티
◇ B급 감성
◇ 주소 생략
◇ 다양한 언어
1. 크기: 가로형 직사각형에서 탈피해 세로형, 정사각형인 명함도 있었습니다. 명함은 '가로형이어야해'하는 고정관념에서 탈피한 케이스라고 할 수 있습니다.
![]() |
![]() |
![]() |
4. 로고: 글자 그대로 정직하게 쓰인 로고도 있었습니다. 글자에 변형이 없는 것이지요. 반면 코자자와 선샤인의 명함을 보시면 A자와 S자가 특이하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심볼이나 캐릭터를 활용해 정체성을 강조한 회사도 있었습니다.
![]() |
![]() |
![]() |
![]() |
![]() |
![]() |
6. 스타트업의 업무 특성상 '노마드족'이 많기 때문에 주소가 생략된 경우도 있었습니다. 해외업체와의 교류도 잦아 아예 영문 버전만 만든 명함도 있었고요. 한국어·영어·중국어·일어를 모두 담은 명함도 있었습니다. 그런데 이런 명함들은 '우리는 가난해서 두 개(언어가 다른)를 따로 만들 여력이 없다'는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다고도 합니다(럭셔리매너;신성대;동문선).
![]() |
![]() |
아시아투데이=노유선 기자, 이주영 디자이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