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 내정자가 전날 기자간담회에서 “총리 권한을 100% 행사하고 경제·사회 정책을 통할하겠다”고 발언한 만큼 이날 박 대통령의 담화에서 김 내정자에 힘을 실어줄 가능성이 제기됐다. 특히 야권은 총리 내정과 관련해 협의 과정이 생략된 개각 발표라고 반발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대통령이 야당을 달래기 위한 메시지가 없다는 점에서 이해하기 어렵다는 지적도 나온다.
정치권 안팎에선 야권이 책임총리제의 진정성을 의심하고 있는 상황에서 대통령이 2선으로 물러나고 정치·사회에 대한 국정운영권한을 총리에게 줘야만 정국을 수습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하지만 박 대통령은 “지금 우리 안보가 매우 큰 위기에 직면해 있고 우리 경제도 어려운 상황”이라면서 “더 큰 국정혼란과 공백 상태를 막기 위해 진상규명과 책임추궁은 검찰에 맡기고 정부는 본연의 기능을 하루속히 회복해야만 한다”고 말했다. 야권에 국정 협조를 요청하면서도 책임총리제에 대한 권한이나 별도 언급은 하지 않은 것이다.
이에 따라 야권에선 ‘김병준 지명 철회’라는 목소리가 거세게 나왔다. 야권의 이같은 반발에도 박 대통령이 김 내정자에 대한 언급을 하지 않은 것은 이날 담화가 대국민 사과와 검찰 수사에 협조하겠다는 데 방점을 찍었기 때문이라고 청와대 측은 설명했다.
하지만 박 대통령이 책임총리 보장을 언급하지 않은 것을 두고 여전히 국정 주도권을 놓지 않으려 한다는 비판 여론이 적잖다. 이런 가운데 박 대통령이 여야 대표들과의 영수회담을 제안한 만큼 향후 이 자리에서 책임총리와 거국내각 등의 문제가 구체적으로 언급될 수 있단 관측도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