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인도 고속철 건설, 한국은 없고 중일만 있다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151210010007790

글자크기

닫기

하만주 기자

승인 : 2015. 12. 10. 17:35

첫 고속철 505km 일본 수주 확정...중국, 다른 구간에 관심...인도 정부 "더 유리한 조건 제시국이 수주"
아베 모디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와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가 오는 12일 뉴델리에서 인도 최초 고속철도 건설, 원자력협정 등에 합의할 것으로 알려졌다. 두 정상은 서로를 ‘친구’라고 부를 정도로 친밀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사진은 지난 21일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서 열린 아시아·태평양 정상회의에서 아베 총리(오른쪽)가 모디 총리를 오찬을 겸한 회담 장소로 안내하고 있는 모습./사진=인도 총리실 홈페이지
인도 정부가 인도 내 고속철도 건설을 놓고 꽃놀이패 협상을 이어가고 있다. 일본·중국 등 고속철 건설에 관심을 가진 정부에 대해 더 나은 조건을 제시하도록 촉구하고 있다. 하지만 인도 정부가 ‘메이크 인 인디아’ ‘디지털 인디아’ ‘스킬 인디아’ 등 주요 정책을 추진할 때마다 거론해 온 한국에 대한 언급은 없었다.

타임스 오브 인디아(TOI)는 10일 인도 정부 소식통을 인용, “일본이 다른 고속철 프로젝트에 투자하길 원하고 있지만 정부는 다른 국가에게도 문호를 개방할 것”이라고 했다.
인도 정부는 전날 저녁 내각회의에서 인도 중서부 마하라슈트라(Maharashtra)주 뭄바이(Mumbai)와 구자라트(Gujarat)주 아메다바드(Ahmedabad)를 잇는 505㎞의 고속철 프로젝트를 승인하고 일본의 손을 들어줬다. 최종 계약은 12일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와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의 정상회담에서 체결된다.

이로써 일본은 지난 9월 인도네시아 자카르타~반둥 간 150km 고속철도 수주전에서 후발 주자인 중국에 진 것을 설욕하게 됐다. 뭄바이~아마다바드 노선은 델리(Delhi)까지 연장될 가능성이 높아 신칸센(新幹線) 영토가 더욱 확장될 것으로 보인다.

이와 관련, 화춘잉(華春瑩)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인도의 결정을 존중한다”고 전제하면서도 “양국 간 철도협력은 모디 총리가 지난 5월 중국을 방문했을 때 시진핑(習近平) 국가주석과 맺은 ‘중요한 합의’”라며 “양국 관련 부처가 중국의 기술 지원으로 인도의 기존 철도의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협상을 진행하고 있다”고 했다.

중국은 인도 최남동부 타밀 나두(Tamil Nadu)주 첸나이(Chennai)와 델리 간 2200km 구간에 관심이 가지고 있고, 양국 컨소시엄은 뉴델리~뭄바이 간 1200km 구간에 대한 조사를 진행 중이다.

아울러 양국은 중장비 운송 관련 기술자 교육을 실시하고 있고, 중국 철도대학과 같은 교육시설을 설립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이 같은 양국 간 철도협력에도 불구하고 인도 정부는 향후 고속철 건설에 관해 안정성, 금융 조건, 기술이전, 장비의 인도 내 생산 등을 철저하게 검증한다는 계획이다. 이번 일본 수주도 이 같은 조건에 가장 적합했기 때문이라고 한다.

일본 정부는 인도 측에 기술을 지원해 관련 장비의 70~80%가 인도에서 생산되게 하고, 기술 이전도 할 것이라고 약속했다. 아울러 총사업비 146억 달러의 절반이 넘는 81억 달러를 공적개발원조(ODA) 형태로 ‘금리 0.1%, 10~15년 거취·50년 상환’ 조건으로 제공하겠다고 제시했다.

안전성면에서도 일본이 우위를 점했다. 아르빈드 파나가리야(Arvind Panagariy) 인도개조국가기구(NITI) 부의장은 신칸센은 인명 사고가 없었고, 1분 이상의 연착도 없는 반면 중국의 경우 디자인 결점과 운영 미숙으로 2011년 7월 원저우(溫州)에서 고속철 추락사고가 발생, 40명이 사망하고 200여명이 부상을 입었다고 했다.

인도계 미국인인 파나가리야 부의장은 미국 컬럼비아대 교수(경제학) 출신으로 지난 1월 1일 NITI 출범 때 합류했으며 이번 고속철 수주 심사를 주도했다. 최근 중국을 방문, 중국 측이 제시하는 조건이 일본에 비해 비싸다고 말하기도 했다.
하만주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

댓글 작성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