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일 주택담보대출을 취급하는 국내 17개 시중·특수·지방·외국계 은행에 따르면 올해 7월 주택담보대출(만기 10년 이상 분할상환식) 평균금리는 2.98%였다. 이 중 은행 기준금리는 1.85%, 가산금리는 1.13%로, 가산금리 비중은 전체 대출 평균금리의 38%에 달했다.
한국은행의 기준금리가 2년간 1.25%포인트(2.75%→1.5%) 하락했고, 주택담보대출의 기준이 되는 코픽스(COFIX·자금조달비용지수)가 43개월째 하락세를 보였지만 은행들은 이 기간 동안 주택담보대출의 가산금리 비중을 늘려온 것이다.
실제로 2년 전인 2013년과 7월과 비교하면 가산금리 비중은 14.2%포인트 늘어났다. 당시 주택담보대출 평균금리는 3.82%였고, 이 중 기준금리가 2.91%로 전체 대출 평균금리 비중의 76.2%를 차지했다. 가산금리는 0.91%로 23.8%에 지나지 않았다.
은행의 대출금리는 한은 기준금리에 조달금리를 얹은 은행 기준금리, 여기에 고객들의 신용도를 토대로 한 가산금리를 더해 정해진다. 다만 가산금리는 은행들의 재량으로 산정되므로, 은행이 이윤을 높이기 위해 이 비중을 높일 수 있다.
현재 은행들은 영업비밀이라는 이유로 가산금리의 구체적인 산정 기준과 세부 내용을 공개하지 않고 있다.
은행 중에선 경남·광주·대구·부산·전북·제주 등 지방은행의 가산금리 비중이 2년 사이에 17%포인트가 늘어 가장 많이 올랐다. 국민·신한·우리·하나·외환 등 5대 시중은행의 가산금리 비중은 15.6%포인트, 씨티·SC 등 외국계은행의 비중도 14.6%포인트 증가했다.
일각에서는 은행의 핵심 이익인 이자이익이 줄어들면서 은행들이 손실을 메우기 위해 가산금리를 올렸다고 지적한다. 다만 은행업계는 수익성 하락 등 대내외적으로 경제환경이 좋지 않은 상황에서 가산금리까지 낮추면 은행의 부실이 커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조남희 금융소비자연맹 회장은 “우리나라는 불경기든 호경기든 은행이 목표수익률을 달성할 수 있는 구조”라며 “금융당국은 은행들의 가산금리 인상을 사실상 방관하고 있어 더 큰 문제”라고 꼬집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