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3대 여성암인 유방암은 환자 중 30~40%가 유방 전체를 잘라내는 ‘유방 전절제술’을 시행한다. 이 경우 환자의 미용적 만족도는 매우 낮다. 최근에는 환자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유두·유륜 복합체 보존 유방 전절제술(NSM)’을 실시하는 추세다.
|
교수팀에 따르면 유방 MRI는 유방암 병변의 범위를 가장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는 진단 방법이다. 유방 MRI 상 관찰되는 ‘비종괴성 조영증강’은 암세포가 덩어리져 보이는 ‘종괴성 병변’과 달리 덩어리 없이 불규칙한 형태로 흩뿌려놓은 것처럼 보이는 이미지다.
수술 전 암 병변이 유두를 침범하거나 유두에서 근거리 내에 위치하면 유두·유륜 복합체 보존 유방 전절제술을 시행하지 않는 것으로 권고되고 있다. 유두를 침범하거나 유두에서 근거리 내에 있는 암 병변은 유방 MRI 상 종괴성 병변보다는 흔히 비종괴성 조영증강의 형태로 보이는 경우가 많지만 이에 대한 진단 정확도는 잘 알려지지 않았다.
교수팀은 지난 2017년 11월부터 2019년 11월까지 유방 MRI 상 비종괴성 조영증강이 유두에서 2cm 이내로 위치해 유두·유륜 복합체를 제거하는 유방암 수술을 받은 64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정밀한 병리학적 평가를 통해 비종괴성 조영증강의 진단 정확도를 분석했다.
또 수술 시 제거된 유두·유륜 복합체 전체를 세분화해 유방암 세포의 유두·유륜 복합체 침범 여부와 유방암 세포가 유두·유륜 복합체 미침범 시 유두에서 유방암 세포까지의 최소 거리를 병리학적으로 평가했다.
그 결과 유방암 환자 64명 중 49명(77%)에서 유방 MRI 상 비종괴성 조영증강의 유두·유륜 복합체 침범이 확인됐다. 이들 중 병리 검사 상 유방암 세포의 유두·유륜 복합체 침범이 관찰된 환자는 42명으로, 비종괴성 조영증강의 유두·유륜 복합체 침범의 양성 예측율은 86%였다.
유방 MRI 상 비종괴성 조영증강이 유두·유륜 복합체에서 2cm 이내로 근접하지만 침범하지 않은 15명 중에서, 병리 검사상 1명(7%)에서만 유방암 세포의 유두·유륜 복합체 침범이 관찰됐다. 또 유방 MRI에서 측정한 유두·유륜 복합체와 비종괴성 조영증강 간의 최소 거리와 병리학적 조직 검사에서 측정한 유두·유륜 복합체와 유방암 세포 간의 최소 거리는 높은 일치율(상관 계수 0.71, P-value 0.003)을 보였다.
정 교수는 “유방 MRI 상 종괴성 병변보다는 비종괴성 조영증강이 유두를 침범하거나 유두에서 근거리 내에 있는 경우가 훨씬 많지만 현재까지 정밀한 병리 검사를 기반으로 한 비종괴성 조영증강의 진단 정확도를 평가한 연구는 없었다”면서 “이번 연구를 통해 유방 MRI 상 비종괴성 조영증강이 유두를 침범한 경우 실제로 86%에서 병리 검사상 암세포의 유두 침범이 관찰된 것이 확인됐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