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위임 받은 협상책임자 지명 포함
|
블룸버그는 소식통을 인용해 중국 정부는 트럼프 행정부가 참모들의 중국 비하 발언을 자제하고 중국에 대한 존중을 보일 것을 요구하고 있다고 전했다. 최근 미국 부통령 JD 밴스가 '중국 농민' 관련 발언을 한 데 대해 중국 외교부가 "무지하고 무례하다"며 강하게 반발한 바 있다.
또 미국이 대중국 제재와 대만 문제와 관련한 중국 측 우려를 다룰 의지를 보여야 하며, 보다 일관된 입장을 취해야 한다고 전했다. 중국은 대만을 자국의 영토로 간주하며, 필요할 경우 군사적 조치도 불사하겠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중국은 미국이 대만 문제에서 도발적인 행동을 삼가고, 중국의 안보 우려를 해소하는 태도를 보일 것을 요구하고 있다.
중국은 아울러 미국 측이 트럼프 대통령의 전폭적인 지지를 받는 협상 대표를 임명하고,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트럼프 대통령이 만났을 때 서명할 수 있는 합의를 준비할 수 있는 인물이어야 한다고 보고 있다는 것이다. 중국은 미국 내에서 입장이 일관되지 않고, 일부 고위 인사들이 강경 발언을 이어가는 점에 대해 신뢰를 갖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프랑스의 대형은행인 소시에테 제네럴의 중국담당 경제학자 미셸 램도 "중국이 원하는 바는 어느 정도 명확해졌다. 바로 '존중', '일관성', 그리고 '협상의 책임자' 지정"이라며 "이제 공은 미국으로 넘어갔다"고 말했다.
앞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전날 성명을 통해 "중국과의 합의에 열려 있지만 합의는 중국이 해야 할 일"이라고 말하고 공은 중국코트로 넘어갔다며 협상을 촉구한 바 있다.
양측 모두 협상에 열려 있다는 입장을 내비치고 있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즉각적인 정상 간 통화를 원하고 있는 반면, 중국은 실질적인 결과가 도출될 수 있는 정상 간 대화를 선호하고 있다.
설사 양국이 협상의 절차에 합의하더라도, 트럼프 대통령이 원하는 게 무엇인지 여전히 불분명하다. 또 미국이 무역 균형을 맞추고 제조업체들을 미국으로 유인하기 위한 목표를 달성하려면 대중국 관세 수준은 높게 유지돼야 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협상이 순조롭게 진행되기 어려울 수 있다.
결국 미·중 양국이 무역전쟁의 장기화를 피할 수 있을지는 미국이 중국의 요구 조건을 수용할지, 그리고 양국이 실질적인 대화에 나설 수 있을지에 달려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