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석탄화력 대체 LNG복합발전소 건설 적기 준공 ‘빨간불’

석탄화력 대체 LNG복합발전소 건설 적기 준공 ‘빨간불’

기사승인 2023. 09. 05. 06:00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탄소중립 필수 에너지원 'LNG'
전세계 LNG 복합발전 건설 확대中
준공 지연에 따라 전력수급 차질
업계 "준공 시기 조정 필요"
ㅇ
지난 7월 28일 한국서부발전은 김포열병합발전소에서 국내 첫 가스터빈 상업 운전을 시작했다고 밝혔다. 사진은 경남 창원 두산에너빌리티 공장에서 촬영한 한국형 가스터빈 조립 장면./서부발전
전 세계 국가들이 탄소중립을 위해 석탄화력 발전소를 LNG(액화천연가스) 복합 발전소로 전환하는 가운데 주기기 수요 증가에 따라 납품 일정이 수개월 늦어지는 등 LNG 발전소 대체건설이 지연되고 있다. LNG 발전소 준공이 지연되면서 안정적인 전력 공급에 차질이 빚어질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된다.

4일 업계에 따르면 최근 한국전력 산하 화력 발전 공기업 5개사가 발주한 LNG복합발전 가스터빈(주기기) 입찰이 납기일정이 맞지 않아 제작사 선정이 지연되고 있다.

이처럼 제작사 선정이 늦어지는 이유는 가스터빈 제작사는 한정된 반면, 가스터빈 수요가 급증하고 있기 때문이다. 생산 능력에 한계가 온 가스터빈 제작사가 납기일정을 맞출 수 없어 선별적으로 국내에서 발주한 프로젝트 입찰에 참여하면서 기자재 가격이 오르고 납품 일정까지 지연되는 등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실제로 세계적으로 가스터빈을 제작할 수 있는 기업은 GE·지멘스·미쓰비시 등 3곳뿐이다.

그러나 세계적으로 LNG 복합발전 건설을 확대하면서 가스터빈 수요는 급증하고 있다. 쿠웨이트를 포함한 중동지역에서 다수의 복합화력 건설 발주가 예정돼 있다. 전 세계 LNG 복합화력 시장 규모는 2021년 190억 달러에서 2028년 320억 달러까지 치솟을 전망이다.

결국 국내 발전사들이 터빈제작사의 눈치를 봐가며 발주 납기를 조정하해 진행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현재 정부에서 국내 발전사들의 협상력 강화를 위해 국책과제로 '가스터빈 국산화 기술개발에' 나서고 있지만 2025년 12월에 첫 실증이 가능하다.

LNG 복합발전소의 준공이 늦어지면 안정적인 전력공급에 차질이 생긴다. 제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따르면 LNG 복합발전의 설비용량은 2023년 43.5GW 2036년 62.9GW까지 급증한다. 비중(실효용량 기준)으로 보면 2036년 44.7%를 차지하게 되는데 이는 원전 신재생 등 모든 전원에서 가장 높은 비중이다. 사실상 LNG가 우리나라의 전력 공급을 이끄는 셈이다.

LNG 발전 비중이 계획보다 늦어지면 탄소 중립을 원전 신재생에너지 등으로 채워야 하는데, 현실은 녹록지 않다. 원전의 건설기간은 최소 10년이다. 신재생에너지는 간헐성 전원이기 때문에 발전량을 예상하기도 통제하기도 쉽지 않다. 전력을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해서는 LNG 발전이 차질 없이 뒷받침해 줘야 한다.

업계 관계자는 "천연가스 복합화력이 신규 에너지원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발전 비중이 증가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나 가스터빈 수요급증에 따른 기자재 공급 한계 문제로 발생하는 가격 상승이나 납기 지연 등은 안정적인 복합화력 전원 확보에 큰 걸림돌이 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국내 복합화력 준공일정 조정을 통해 대체건설 시기를 유연하게 조정한다면 안정적인 기자재 공급 및 건설비용 절감이 가능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에 주무부처인 산업통상자원부 측은 가스터빈 국산화 실증을 서두르겠다는 입장이다.

천영길 산업부 에너지정책실장은 "국내 발전사들의 협상력을 높이기 위해 국산화 과제를 서두르고 있다"며 "국산화가 성공하면 국내 발전사들이 GE·지멘스 등 해외 가스터빈 제작사들과 비교를 하면서 자체 의사결정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