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경 아닌 각 지역 현장파업 돌입
차별해소, 급식실 폐암산재 대책 마련 등 요구
|
전국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연대회의)는 22일 오전 민주노총에서 '학교 비정규직 총파업 선포 기자회견'을 열고 학교 비정규직 노동자 5만여명이 오는 25일 오후 1시와 2시 무렵, 여의대로에서 마포대교, 영등포 방향으로 파업 대회를 각각 진행한다고 밝혔다.
연대회의는 상경이 아닌, 각 지역 현장에서 파업에 참여하는 조합원까지 추산하면 참여 인원은 최대 8만명 정도가 될 것으로 예상했다. 파업 규모는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 7월 파업(주최측 추산 4만명 참여·상경인원 기준) 이후 최대 참여 규모다.
연대회의의 총 조합원 수는 전국 1만5000개 학교, 10만여명이다. 조합원 중 급식실 노동자가 전체의 30% 정도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사무 행정, 돌봄 노동자 순이다. 이들은 정규직과의 차별 해소를 요구하면서 학교 급식실 폐암·산재 종합대책 마련, 지방교육재정 감축 반대 등도 주장하고 있다.
교육당국과 임금 교섭을 진행 중인 연대회의는 "시·도교육청은 임금교섭에서 근속수당을 동결하는 등 사실상 실질임금 삭감 교섭안을 제시했다"며 "복리후생 지급 기준 동일적용 등 임금체계 개편 요구는 완전히 무시되고 있다"고 밝혔다.
연대회의는 "파업 요구에 정부와 교육감들이 화답하지 않는다면 재차 파업 등 장기투쟁도 불사할 것이며 사상 처음으로 2023년 신학기 총파업도 이어갈 수 있다"고 밝혔다.
한편 교육부와 시도 교육청은 전날 긴급회의를 열고 파업날 급식·돌봄 현장 공백을 최소화하기 위해 대체 급식과 단축 수업을 실시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