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망 분야·세부 과제 발굴"
|
22일 정부에 따르면, 금융위는 지난달 한국금융연구원과 '2023년~2025년 제6차 금융중심지 기본계획 수립 위한 선행 연구' 용역 계약을 맺었다. 연구 용역은 지난 9월 무응찰, 단독응찰을 이유로 두 차례 유찰된 이후 지난달 수의계약 형태로 최종 체결됐다. 이에 따라 한국금융연구원은 10~12월까지 글로벌 금융환경 변화에 맞춘 미래 전략, 새로운 추진 동력 등을 수립할 예정이다.
금융위가 공개한 과업지시서에 따르면, 한국금융연구원은 디지털화와 핀테크 산업 발전, ESG(환경·사회·지배구조) 등 금융 환경의 변화 요인을 분석할 계획이다. 이를 토대로 주요국과 한국의 금융중심지 현황을 비교해 새로운 중·장기 목표를 수립한다.
실제 서울과 부산시는 2009년 정부로부터 금융중심지로 지정된 이후 '국제 금융 허브'를 목표로 다양한 노력을 기울여 왔다. 하지만 정책적 의지와 상관없이 인프라, 규제 등의 면에서 글로벌 중심지가 되기 어려운 상황이다. 서울·부산시는 지난 9월 발표된 '국제금융센터지수'(GFCI) 평가에서 전 세계 128개 도시 중 각 11위, 29위를 기록했지만 글로벌 금융허브인 뉴욕(1위), 런던(2위) 등에 비해선 뒤처졌다.
이에 따라 금융위가 6차 금융중심지 기본계획을 수립하는 시점에서 금융 산업의 다각화 방안을 강구하는 것으로 보인다. 2003년 정부의 '동북아 금융허브 추진 전략' 발표 이후 추진해 온 금융중심지 정책에 변화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금융위 관계자는 "금융 시장 선진화를 주도할 유망 분야와 세부 과제를 발굴할 예정"이라며 "핀테크·디지털 금융 산업 육성 방안과 자본시장 국제화 등을 다양하게 검토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정치권 일각에서는 금융중심지를 신규로 지정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금융중심지에는 신규 고용에 대한 보조금 지원 등이 이뤄져 직·간접적으로 지역 발전을 견인할 수 있다.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인 김성주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지난 10월 25일 금융위원회에 대한 국회 종합감사에서 "지난 국감 때 전북 지역에 대한 금융중심지 (신규 지정) 문제를 얘기했다"며 "우리나라 금융 산업 전체의 발전을 위해서 금융위가 더 책임 있게 나서주기를 촉구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