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인도, 중국 스마트폰·자동차업체 축출 움직임...삼성·현대차에 순풍?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20720010011481

글자크기

닫기

하만주 워싱턴 특파원

승인 : 2022. 07. 20. 08:21

인도 당국, '부정 송금' 협의 중 스마트폰 비보·샤오미, 자산 압류
중 창청차, 승인 거부로 GM 인도공장 인수 포기
인도, 중 앱·통신 규제...중 기업, 인도시장 전략 수정 불가피
삼성전자·현대차 영향 주목
시진핑 모디 정상회담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 주석과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가 2018년 4월 28일 중국 후베이(湖北)성 우한(武漢)에서 열린 첫 '비격식 양자 정상회담'에서 동호(東湖)를 산책하고 있다. /사진=우한 AP=연합뉴스
아시아투데이 하만주 워싱턴 특파원 = 인도가 스마트폰 대기업의 자산을 동결하고, 자동차 공장 인수를 불허하는 등 자국 시장에서 중국 기업을 축출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고 니혼게이자이(日本經濟)신문(닛케이)이 20일 보도했다.

닛케이는 이같이 전하고, 이에 따른 중국 측의 타격이 커지고 있어 양국 간 관계가 한층 더 악화할 것으로 확실시된다고 전망했다.

인도 당국은 지난 7일 중국 스마트폰 대기업 비보의 자금 세탁 의혹과 관련, 인도 법인을 압수 수색하고, 인도 사업과 관련된 119개 은행 계좌에서 46억5000만루피(762억원)를 압류했다고 로이터통신이 전했다.

인도 당국은 비보 인도 법인이 납세를 회피하기 위해 6247억6000만루피를 중국 등에 송금했다고 보고 있다. 이와 관련, 인도 델리 고등법원은 비보가 은행 계좌를 이용할 수 있도록 했지만 수익을 중국에 송금한 상세 내용을 인도 당국에 보고하도록 지시했다.

앞서 인도 당국은 4월 말 또 다른 중국 스마트폰 대기업 샤오미(小米)의 '부정한 해외 송금'과 관련, 555억루피(9100억원)가 넘는 자산을 압류했다고 밝혔다.

인도 뉴델리
인도 뉴델리의 '용산전자상가' 네루플레이스./사진=하만주 특파원
인도 당국의 중국 기업 규제는 자동차 산업으로 확산됐다. 중국 창청(長城)자동차는 지난달 말 미국 제너럴모터스(GM)의 인도 공장 매수를 포기했다. 창청차는 2020년 1월 인도 시장 철수를 결정한 GM의 인도 공장을 인수하기로 합의했다고 발표했다. 하지만 창청차 인도 사업 대리인은 "기한 내 당국의 승인이 내려지지 않았다"고 밝혔다.

이 같은 인도 당국의 조치가 중국산 저가 공세에 인도 시장 1위 자리를 내준 삼성전자와 시장 점유율 부동의 2위 자리를 지키고 있는 현대·기아차에 순풍으로 작용할지 주목된다.

홍콩 시장조사기관 '카운트포인트 테크놀리지 마켓리서치(CTMR)'에 따르면 출하 대수 기준 중국 스마트폰 기업의 인도 시장 점유율을 60%를 넘는다. PC·TV 등 부문에서도 중국 제품의 점유율이 높다.

아울러 중국 상하이(上海)차와 상용차 업체인 우링(五菱)차, 그리고 GM이 합작 설립한 '상하이·GM·우링자동차(SGMW)'는 내년 상반기 현지 제휴업체를 통해 저가 전기차(EV)를 판매할 계획이다.

하지만 인도 정부가 앞으로도 중국 기업에 대한 단속을 지속하면 각사는 인도 시장 전략을 수정해야 할 것이라고 닛케이는 전망했다.

중국 EV
중국 상하이(上海)차와 상용차 업체인 우링(五菱)차, 그리고 미국 제너럴모터스(GM)가 합작 설립한 '상하이·GM·우링자동차(SGMW)'가 제조한 전기자동차 훙광미니(宏光MINI)./사진=SGMW 홈페이지 캡처
인도 당국은 인터넷·통신 분야에서도 중국 기업에 대한 단속을 강화해왔다.

인도 정부는 2020년 6월 9일 중국과의 국경 지역에서 20여명이 사망한 53년 만 최악의 인명 사건 이후 두 차례에 걸쳐 틱톡·위챗 등 중국산 애플리케이션 총 106개의 자국 내 사용을 금지했고, 5세대(5G) 무선통신 시험에서 화웨이(華爲) 등 중국 기업을 배제했다.

이 같은 인도의 조치에 대해 중국의 대응은 상대적으로 로우키다. 주인도 중국대사관은 5일 "중국 기업에 대한 빈번한 조사는 경영활동을 혼란시키고, 명예를 손상한다"고 했고, 중국 외교부는 "인도에서의 투자나 경영에 대해 공평·공정·무차별적인 환경 제공을 요망한다"면서도 인도 기업에 대한 눈에 띄는 보복 조치에는 착수하지 않았다고 닛케이는 전했다.

이는 중국이 인도를 러시아와 연대한 자기 진영으로 끌어들이기 위한 목적으로 보인다고 닛케이는 분석했다. 인도는 국경 분쟁 등으로 중국과는 불편한 관계이지만 러시아와는 전통적으로 가까운 관계다.

나렌드라 모디 인도 정부는 미국·일본·호주와 함께 중국 견제 협의체인 '쿼드(Quad)'에 참여하면서도 우크라이나를 침략한 러시아에 대한 서방의 제재에는 적극적으로 참여하지 않고 있다. 오히려 러시아산 원유 수입 확대 등으로 제재 체제를 손상하고 있다는 지적을 받는다.
하만주 워싱턴 특파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