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원 이례적으로 삼성전자 해킹 설명자료 배포
|
7일 전자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이날 사내 인트라넷에 “회사는 최근 외부의 정보 탈취 시도를 인지해 즉시 전사 정보보호센터와 MX사업부 시큐리티팀이 보안시스템을 강화하는 등 대응 체제를 가동했다”고 공지했다.
삼성전자는 “현재까지 확인된 유출 자료에는 갤럭시 구동에 필요한 일부 소스 코드가 포함돼 있으나 임직원과 고객의 개인 정보는 포함돼 있지 않다”면서 “회사 비즈니스와 고객에 미치는 영향은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고 전했다. 이어 “추가적 정보 유출을 차단하고 임직원과 고객을 보호하기 위해 할 수 있는 모든 조치를 강구 중”이라면서 “임직원들에게 심려를 끼쳐 대단히 죄송하다”고 덧붙였다.
해커 그룹 랩서스는 지난 5일 자신들이 삼성전자의 서버를 해킹했다며 소스 코드 등 삼성전자의 기밀 데이터 일부를 토렌트에 공유했다. 랩서스는 자신들이 탈취한 데이터가 압축된 폴더 3개를 합치면 190GB에 달한다고 주장하면서 일각에서는 삼성전자가 삼성페이와 같은 고객 데이터를 대거 탈취 당한 것 아니냐는 우려도 나왔다.
국정원도 이날 이례적으로 “삼성전자가 해킹 당한 데이터는 산업기술보호법상 국가핵심기술에 해당하지 않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고 발표했다. 삼성전자가 보유한 반도체·디스플레이 핵심 기술이 유출된 것 아니냐는 민원이 이어진 탓이다.
국정원은 또 “언론보도에 언급된 소스 코드 유출과 관련해서도 국가·공공기관을 대상으로 ‘모바일 보안 플랫폼’ 사용 여부, 보안 프로그램 탑재 여부 등을 파악, 대응하고 있다”며 “앞으로 국내외 다양한 채널을 활용해 해킹 활동 관련 정보를 수집하고 침해지표 입수 등을 지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편 랩서스는 지난 1일 미국 반도체기업 엔비디아의 서버에서 그래픽처리장치(GPU) 회로도를 포함해 중요한 데이터를 빼냈다고 주장한 해커 조직이다. 엔비디아는 지난 4일 중요 정보를 해킹당했다고 시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