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등급 진단 대학 정원 3200여명 감축
|
교육부와 한국교육개발원은 22일 이 같은 내용의 ‘2020년 교원양성기관 역량진단’ 최종 결과를 발표했다.
교육부는 사범대학, 일반대 교육과, 일반대 교직과정, 교육대학원 등 교원양성기관의 체계적인 질 관리와 자율적인 발전을 지원하기 위해 1998년부터 한국교육개발원과 함께 다섯 차례에 걸쳐 교육여건, 교육과정, 성과 등에 대한 종합적인 진단을 실시해 오고 있다.
이번 진단은 제5주기(2018~2021년)의 2~3차 연도에 해당하는 진단으로, 교육대학과 교원대를 제외한 154개 4년제 대학을 대상으로 실시됐다. 진단 결과 하위등급(C~E등급)을 받은 111개 대학, 126개 교육대학원의 2022년 교원양성과정 정원 3200여명이 감축될 예정이다.
C등급을 받은 한국외대 사범대를 비롯해 가양대 등 11개 대학의 교육과, 가톨릭대 등 64개교의 교직과정 정원은 내년부터 30% 감축된다. 또 D등급을 받은 강원대(삼척) 유아교육과와 명지·우송·한림대 등 31개교의 교직과정은 현행 정원에서 50%가 줄어든다.
특히 최하등급인 E등급을 받은 부경·창원·한성대는 내년부터 교원양성기능이 폐지된다. 교육부는 이번 진단결과를 통해 감축되는 교원양성 과정 규모가 사범대 및 일반대 교육과 130여명, 교직과정 1800여명, 교육대학원 1200여명 등 총 3200여명에 달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는 진단대상 양성정원(총 2만6000여명)의 12%에 해당하는 수치다.
교육부·한국교육개발원은 진단결과에 대한 세부 분석자료를 해당 대학에 제공해 교원양성기관이 자율적으로 교육여건·과정 등을 개선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이번 사범대 및 일반대학 교육과 정원 조정 방침에 대해 교원단체는 교원양성기관 내실화를 위해 어느 정도는 불가피하다는 입장이다.
한 교원단체 관계자는 “그간 교육계에서는 일반대학 교육과와 교육대학원 등의 정원이 지나치게 많고 학과운영도 방만하다는 지적이 끊이지 않았다”며 “앞으로 교원양성이라는 명확한 목표를 가진 교육대학(교대), 사범대 등 목적형 대학에 우수자원이 몰릴 수 있다는 측면에서 이번 정원 감축은 불가피한 과정”이라고 평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