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미 2000년 65세 이상 인구 비율이 7.2%로 고령화 사회에 도달한 한국사회가 2018년에는 14%를 넘어 고령사회에, 2026년에는 20%에 달하는 초고령사회에 진입할 것으로 전망된다. 평균수명 100세 시대가 현실로 우리 앞에 빠르게 다가오고 있음을 보여주는 연구결과도 속속 발표되고 있다.
평균수명이 늘어나는 것 자체는 개인에게 반가운 일일 수 있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단순한 수명의 연장이 아니라 연장된 수명이 영위하는 삶의 질이다.
수명연장이 경제적으로 편안한 노후를 보장하지 못하고 젊은 세대에게 부담만 가중시키는 결과를 가져온다면 이는 인류에게 축복이 아니라 재앙이 될 수 있다. 노년층 일자리 창출이 시급한 이유다.
동대문구는 노년층 일자리 창출을 위해 다양한 사업을 전개하고 있다.
저소득 노인 1100여명이 5개분야 18개 사업에 고용되어 소득을 창출하고 지역사회 봉사 기회를 갖는 ‘노인 일자리사업’이 연중 시행되고 있으며, 한시적 생계유지 보조 성격의 일자리 사업에서 벗어나 생산성 있는 지역중심의 일자리 창출로 안정적인 근로 기회를 제공하기 위한 ‘지속가능한 지역공동체 일자리사업’도 의욕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또한 장년 구직자의 재취업난 해소와 중소기업 인재 채용을 지원하고자 구인·구직자 만남의 장인 ‘50 플러스 장년 일자리 박람회’를 개최했으며, 베이비부머 퇴직자들을 대상으로 재취업·창업을 위한 인큐베이팅 워크숍, 사례교육, 실천프로그램 훈련 등의 과정으로 구성된 ‘인생설계 아카데미’를 운영하여 베이비부머들의 인생 이모작을 도울 계획이다.
그뿐만 아니라 구청 취업정보은행에서는 구직자와의 일대일 심층상담 및 맞춤 취업알선, 전문 취업상담사와 구인업체에 동행하여 진행하는 동행면접 서비스, 숨은 일자리 발굴을 위한 구인업체 발굴단 운영 등을 통해 노년층 일자리 알선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한정된 재정여건 하에서 노년층 일자리 창출 사업을 꾸준히 추진하고 또 성과를 내고 있으나 기초자치단체의 노력만으로는 한계가 있는 것도 사실이다.
노년층 일자리 문제는 십수 년 후에 반드시 도래할 초고령사회에 대한 위기의식을 바탕으로 국가 차원에서 새로운 패러다임의 큰 밑그림이 그려져야 하며, 이를 뒷받침할 과감한 투자가 수반되어야 할 것이다.
새 정부는 지난 대선 과정을 통해 노인 일자리와 관련한 여러가지 정책을 공약으로 내놓았다. 매년 노인 일자리 22만개 창출, 안정적인 노후생활을 위한 정년연장, 노인 취업기업 보조금 지원 등이 골자다.
노년층 일자리 창출을 위한 구체적인 정책들이 공표된 것은 고무적이며 다행스러운 일이라 하겠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실천이다. 정책 우선순위에 밀려 노년층 일자리 창출 사업 공약이 구두선으로 끝나서는 안될 것이다.
왜냐하면 노년층 일자리 문제는 우리 사회가 반드시 대책을 마련해야 할 사회적 문제이며, 더 이상 미루기에는 너무 시급한 문제이기 때문이다.
노인들이 일정한 소득 창출을 통해 노후를 스스로 안정적으로 관리하고 건강한 사회구성원으로 기능할 수 있을 때만이 향후 도래할 100세 시대는 개인과 인류 전체에 축복이 될 것이다.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기업은 물론 고령사회를 함께 통과해야 하는 우리 모두가 노년층 일자리 창출을 위해 지혜와 힘을 모아야 할 때다.